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싱가포르] 포장 식품 라벨링 규제 강화로 글루텐 함량 표기 의무화

곡산 2025. 4. 6. 22:13

[싱가포르] 포장 식품 라벨링 규제 강화로 글루텐 함량 표기 의무화

 ❍ 싱가포르 식품청(SFA)은 소비자의 식품 선택권 강화를 위해 포장 식품의 글루텐 함량 표시 기준을 강화하는 개정안을 발표

  - 기존에도 일부 제품에서 「글루텐 프리」(Gluten-free) 또는 「글루텐 감소」(Reduced gluten) 등의 문구를 사용할 수 있었으나,
    이번 개정을 통해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마련됨

  - 앞으로 「글루텐 프리」 문구를 사용하려면 제품의 글루텐 함량이 20mg/kg 이하, 「글루텐 감소」 문구를 사용하려면 100mg/kg
    이하의 기준을 충족해야 함

  - 해당 제품이 주요 영양소 대체품으로 판매되는 경우, 기존 식품과 유사한 수준의 비타민 및 미네랄을 포함해야만 함

 ❍ 해당 식품 규정 개정안은 2025년 1월 31일에 발표되어 2026년 1월 30일부터 시행 예정

  - 이번 규제는 싱가포르 보건부(MOH) 및 식품청(SFA)의 주도로 마련되었으며,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

  - 글루텐 관련 식단을 엄격히 관리해야 하는 소비자층(예: 셀리악병 환자 및 글루텐 불내증이 있는 소비자)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
  * 셀리악병은 장 내 영양분 흡수를 저해하는 글루텐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하여 나타나는 알레르기 질환

  - 개정안 시행 이후 해당 기준을 충족하지 않은 제품이 「글루텐 프리」 등의 문구를 사용할 경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음

  - 이번 규제는 슈퍼마켓, 편의점 등 오프라인 유통 채널을 통해 판매되는 포장식품에 한정되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판매 제품에는
    적용되지 않음

 ❍ 싱가포르는 최근 식품 안전 및 건강 관련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

  - 2022년 「Nutri-Grade」(당류 함량 표시제) 도입에 이어 이번 글루텐 관련 규제 강화도 소비자의 건강 보호를 위한 조치 중 하나

  - 싱가포르 정부는 지속적으로 식품 라벨링 정책을 개정하여 소비자가 보다 명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

 ❍ 글로벌 시장에서도 글루텐 프리 식품에 대한 관심 증가

  - 최근 몇 년간 아시아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글루텐 프리 식품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

  - 셀리악병을 앓고 있거나 글루텐 불내증이 있는 소비자뿐만 아니라 건강을 위해 글루텐 섭취를 줄이려는 일반 소비자들도 증가하고 있음

 

 

▶ 시사점 및 전망

 ❍ 글루텐 프리 식품에 대한 싱가포르 현지 관심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되며, 대표적 글루텐프리 제품인 한국산 쌀가공식품에 대한
   시장 수요 역시 늘어날 것으로 전망

 

※ 출처

1) Food Navigator Asia 

https://www.foodnavigator-asia.com/Article/2025/03/03/singapore-tightens-pre-packaged-food-labelling-regulations-with-focus-on-gluten-online-platforms-excluded/

2) 싱가포르 식품청 

https://www.sfa.gov.sg/docs/default-source/public-consultation/responses-to-feedback-from-consultation-food-regs-labelling-requirements-05022025.pdf

3) Global News Wire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5/01/21/3012415/28124/en/Gluten-Free-Food-Market-Trends-Analysis-by-Product-Type-Form-Source-Distribution-Channel-Country-and-Company-2025-2033.html?utm_source=chatgpt.com

4) 아주대학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38

 

문의 : 쿠알라룸푸르지사 정담원(damwon@at.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