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빠르게 성장하는 인도 냉동식품 시장의 현황과 향후 전망
▢ 주요 내용
1. 인도 냉동식품 시장, 급성장 중
ㅇ 인도 냉동식품 시장은 소비자 선호 변화와 급속한 도시화가 반영된 결과로 전례 없는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2024년 시장 규모는 1,868억 4천만 달러(한화 약 270조 원)로 평가되며, 2033년까지 5,725억 4천만 달러(한화 약 83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부터 203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은 13.2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성장은 인도 중산층의 가처분 소득 증가, 바쁜 도시 생활로 인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냉동 유통 인프라의 발전 등 여러 사회경제적, 문화적 요인에 의해 가속화되고 있다.

[출처 : IndianRetailer 이미지]
ㅇ 이 같은 성장은 주로 ① 바쁜 직장인과 젊은 소비자들이 냉동식품을 선택하는 증가, ② 핵가족 구조의 확산에 따른 편리하고 빠른 식사 옵션에 대한 수요 증가, ③ 맛과 영양을 유지하면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준비된 식사(RTE) 제품의 선호도 증가, ④ 중산층의 성장과 글로벌 음식 문화에 대한 노출 증가로 촉진되고 있다. 특히, 조리가 간편하고 이국적인 맛의 서양식 냉동식품인 파스타, 피자, 디저트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ㅇ “냉동식품은 단순한 편의 식품을 넘어서 맛, 다양성, 영양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선호하는 선택으로 자리 잡았다.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준비된 요리 옵션과 IQF(개별 급속 냉동) 같은 최신 보존 기술 덕분에 맛, 질감, 영양이 그대로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어 오늘날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식품 트렌드로 인도 냉동식품 시장의 성장은 이 같은 변화가 반영된 결과이다,
2. 기술과 혁신이 이끄는 인도 냉동식품 시장의 고속 성장
ㅇ 인도 냉동식품 시장의 빠른 성장은 기술 혁신에 기반하고 있다. IQF(개별 급속 냉동) 기술과 현대화된 냉장 유통 시스템은 제품의 맛과 영양을 유지하면서도 유통기한을 연장시켜, 도시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까지 냉동식품의 접근성을 높였다. 이러한 인프라의 발달은 국내외 냉동식품 브랜드의 시장 진입을 촉진하고 있다.
ㅇ 또한, 변화하는 소비자 입맛에 맞춘 제품 혁신도 시장 확대의 핵심 요소이다. 인도의 냉동식품 제조업체인 Godrej Yummiez, McCain 등의 브랜드는 인도 현지의 기호와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며 수요를 견인하고 있으며, 특히 냉장 치킨과 만두 등은 인도 소비자들 사이에서 대중적인 간식으로 자리잡았다. 이처럼 현지 소비자 맞춤형 제품 개발은 냉동식품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성장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3. 도시화와 유통망 확장이 불러온 인도 냉동식품 시장의 지역별 성장
ㅇ 인도 냉동식품 시장은 지역별로 고르게 성장하고 있다. 북부 및 중부 지역의 델리, 챤디가르, 자이푸르, 룩나우 등에서는 바쁜 도시 생활과 증가하는 가처분 소득으로 인해 냉동 스낵, 채소, 육류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중부 인도 또한 소비자 인식 개선과 유통망 강화를 바탕으로 빠르게 확장 중 이다.. 남부 지역의 방갈로르, 첸나이, 하이데라바드, 코치 등에서는 변화하는 식습관과 편리함을 중시하는 트렌드에 따라 특히 직장인과 젊은 가구를 중심으로 냉동식품의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ㅇ 이러한 지역별 수요 확대는 유통 채널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슈퍼마켓과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냉동식품 시장 활성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온라인 식료품 쇼핑의 보편화로 냉동식품은 더 많은 소비자에게 손쉽게 접근 가능한 품목이 되고 있다. 특히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플랫폼에 냉동식품 전용 코너가 설치되면서 제품의 가시성과 구매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이는 시장 성장을 한층 더 촉진하고 있다.
▢ 시사점
ㅇ 인도 냉동식품 시장은 도시화, 바쁜 라이프스타일, 건강에 대한 인식 변화, 기술 혁신, 정부 지원 등 다양한 요인이 결합되어 급속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소비자들은 더 이상 냉동식품을 단순한 편의 식품이 아닌, 맛과 영양을 겸비한 일상식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품질과 다양성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냉동 유통망 확장과 전자상거래의 발달은 지역적 한계를 넘어 전국적인 수요 확대를 가능하게 하고 있어, 향후에도 안정적인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ㅇ 이러한 인도 시장의 변화는 한국 냉동식품 브랜드에게도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한류 콘텐츠의 영향으로 한국음식과 식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고품질·건강 중심의 한국 냉동식품은 인도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합하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K-푸드 특유의 다양한 맛과 조리 편의성을 강조한 제품들은 젊은 소비자층과 핵가족을 중심으로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으며, 현지 유통사 및 온라인 플랫폼과의 전략적 협업을 통한 시장 진입과 확산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ㅇ 출처 :
문의 : 방콕지사 김창호(atbkkho@at.or.kr)
'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포도 시장 동향 (1) | 2025.04.02 |
---|---|
[베트남] 한국계 편의점 GS25, 하노이 진출 (0) | 2025.04.02 |
빠른 도시화와 가공식품 소비 증가로 유망한 방글라데시 식용유 시장 동향 (0) | 2025.04.01 |
말레이시아 편의점, 리테일을 넘어 복합 라이프스타일 공간으로 (0) | 2025.04.01 |
[헝가리]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상승 및 한국 식품 수출 동향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