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이 부족하다니”… 작황부진에 해외공여까지 정부미도 바닥
필수 물량 빼면 재고량 8만t
25년래 최저… 내년도 불안
입력 : 2021-06-08 00:05
- “쌀이 부족할 때도 있다니.” 매년 남아돌면서 북한 지원이나 사료 전환에 대한 비판에 휩싸였던 쌀 재고량이 바닥을 보이는 수준까지 줄어들었다. 다음 달이면 수입산을 제외한 정부 비축미 재고가 22만t밖에 남지 않는다. 최악의 작황 여파로 재고량이 급감했던 1996년 이후 최저치다. 불안정한 쌀 수급 상황을 봤을 때 정부 비축미를 더 풀어야 할 가능성이 높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이달 중 정부 비축미 8만t을 시장에 공급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8만t 공급이 완료되면 올 들어 시장에 공급한 정부 비축미 물량은 29만t에 이른다. 재고량은 반비례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번 공급 이후 22만t의 재고가 남게 된다. 그나마도 군대 급식용으로 공급해야 할 물량 등 필수 사용분을 제외하면 남는 물량이 얼마 없다. 농식품부는 여유분을 8만t 정도로 파악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쌀 재고량이 이렇게 줄어든 것은 생산량 부족에 시달렸던 1996년 이후 처음인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남아도는 분량 처분이 당국의 일이었던 쌀이 귀한 몸으로 둔갑한 건 지난해 작황 부진 여파가 가장 컸다. 지난해 최장 기간 장마로 쌀 생산량이 감소했다. 지난해 6~8월 54일간의 장마 영향으로 시장 수요보다 쌀 공급량이 적다 보니 쌀값이 오르며 수급에도 차질을 빚기 시작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쌀 생산량은 471만3162t으로 전년(501만6083t) 대비 6.0% 감소했다. 정부가 비축 물량으로 구매하는 35만t을 제외한 436만여t으로는 시장 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웠다. 쌀 가마니(80㎏) 당 평균 소매 가격이 7일 기준 24만4192원까지 오른 것도 이 때문이다. 수급 불안 해소나 물가 안정 차원에서 정부 비축미를 풀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여기에 다른 요인이 겹치며 재고량을 끌어내렸다. 바로 해외 식량원조 물량이다. 현 정부가 들어선 이후인 2018년부터 매년 국제사회에 공여하는 식량원조 물량 5만t이 영향을 미친 것이다. 정부가 연간 비축할 수 있는 물량을 35만t에서 30만t으로 줄였기 때문이다. 식량원조를 개시할 때만 해도 남아도는 쌀 문제를 해결하면서 저개발국도 돕는 일석이조 정책이었다. 하지만 작황이 부진하자 빈 자리가 두드러지는 형국이 됐다.
올해 햅쌀이 나오는 9월까지는 재고 감소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재고량 추가 공급 가능성이 높다. 올해까지 작황이 안 좋으면 이 여파는 내년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게 더 큰 문제다. 자칫하면 곳간이 바닥을 보이는 상황이 올 수 있는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9월이면 정부 비축미 35만t도 수매하고 매년 수입하는 40만여t의 수입산 쌀이 있기 때문에 수급 부족 문제까지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해 올해까지 작황이 나쁘면 외국 쌀을 먹을 수 있다는 얘기다.
세종=신준섭 기자
[출처] - 국민일보
'식품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년 잘 팔았는데..와사비 없는 와사비 제품 이제와서 적발된 이유 (0) | 2021.08.16 |
---|---|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 왜 우유만 뺐을까 (0) | 2021.08.04 |
'米친 쌀값'.. 어느새 정부미 재고도 바닥 (0) | 2021.08.03 |
“맛부터 ESG까지 모두 잡았다” 서울푸드 어워즈, 힐링·기호·혁신식품 시상 (0) | 2021.07.31 |
밀가루 대체 고품질 제빵용 우리밀 품종 개발된다 (0) | 2021.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