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
보고일자: 2008.8.29.
박윤홍 런던무역관
□ 영국 경제 현황
O 영국 경제가 지난 15년간 이어온 성장세 속에 최근 가장 약세를 보이며 향 후 2년 내 후퇴국면으로 들어설 것이라는 분석 확산
O 최근 딜로이트(Deloitte) 이코노믹 리뷰에 따르면 영국 경기는 최근의 주택가격 하락, 글로벌 신용붕괴로 인한 지속된 긴축재정 등이 기폭제가 되어 소비심리 위축, 기업경기 불황, 기업의 인원감축 등 침체의 길로 들어설 것으로 전망.
O 동 기관의 발표에 따르면 올 경제성장은 약 2%수준, 영국의 주택가격은2009년까지 8% 수준의 하락 전망
O 또한 2005년의 경우와는 달리 미국경제 등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불황으로 인해 특별한 구제금융 또한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어 쉽게 회복되지 못할 것으로 우려
O 중국과 인도 등 경제적 급성장을 보이는 국가들의 경우도 영국 수출에 있어 5% 미만의 점유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어서 경제회복에 실질적인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할 것으로 분석
O 반면 인플레이션과 관련, 유가 및 에너지 가격의 상승 등의 우려에도 불구 그나마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어 금융정책 결정에 있어 이자율 인하 폭 조정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것에 위안을 삼음
O 경제분석 전문기관들은 영국의 이자율은 현재 5.5%에서 2009년에는 4%까지 인하될 것으로 전망.
O 올 해 영국 경기는 2% 수준의 성장을 거둘 것으로 보고 있으며 2009년에는 성장 폭이 다소 축소될 것으로 예상함.
O 영국의 2007년 경제성장률은 3.1%로 지난 3년간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나 4사분기의 경우는 신용붕괴사태의 여파로 성장세가 다소 둔화된 바 있으며, 이미 여러 언론 자료를 통해 각 경제관련기관들은 '영국경제의 불경기 임각'을 예고해온 바 있음.
O 특히 금융부문이 전체 국내 경제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는 영국 경제의 특성상 글로벌 신용붕괴의 여파는 향후에도 큰 파격을 줄 것으로 우려
□ 하반기 영국의 경제 및 시장여건
O 유로화, 파운드화 강세 지속 및 원화 약세
- 최근의 달러화의 회복세에도 불구 장기간의 달러화 약세 및 파운드화의 강세로 8월 현재 기준 환율이 1파운드 1.97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2008년 하반기에도 파운드화는 달러화 대비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파운드화는 유로화에 대해2008년 상반기 내내 약세를 지속해 옴.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유로화 강세에 힘입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5월 말 기준 1파운드=1.26유로임.
O 조선/해운산업 경기 여전히 긍정적 시장환경 전망
- 영국은 세계 해운산업의 중심지로 최근의 해운산업 경기 호조는 세계 최대 조선국인 한국의 기록적인 선박 수출을 이끌고 있음.
- 업계 분석에 따르면 2008년 하반기에도 최근연도의 기록적 수치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꾸준한 수요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
O 2012년 런던 올림픽 효과에 따른 건설·교통·보안산업 등 호황 기대
- 정부 주도 하에 막대한 자금 투입을 통한 대대적인 사업 진행
- 주택·교통·보안시설 확대 및 개선노력 집중에 따른 수요 증가로 관련 산업의 경기 부흥 기대
O 하반기 영국 경기침체 가속 전망
- 영국 경제가 지난 15년간 이어온 성장세 속에 최근 가장 약세를 보이며 향후 2년 내 후퇴국면으로 들어설 것이라는 분석 확산
- 주택가격 하락, 글로벌 신용붕괴로 인한 긴축재정 및 경기 악화로 올 해 2% 수준 성장 등 향후 성장률 다소 저하 전망. 이 기관의 발표에 따르면 영국의 주택가격은 2009년까지 8% 수준의 하락 전망
O 상반기 대외수출입 감소 지속, 내년에도 이어질 전망
- 영국의 올 상반기 수출입 통계를 살펴보면 수출과 수입 모두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수출 및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20%, 3%의 감소를 기록함
- 동기간 대한교역의 경우, 수입은 전기·전자·자동차·기계류 등 전반적인 수입량 감소를 보이며 14%의 감소(선박 제외)를 기록한 반면, 수출은14% 증가세를 보임.
O 긴축재정정책 운영으로 인한 GDP 성장률 둔화
- 영국중앙은행(Bank of England)은 현재 물가인상률이 3.0%로 목표 기준치인 2.0%를 크게 상회하고 있어, 향후 이자율의 추가적인 인하가 쉽지 않아 현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긴축재정정책이 전망됨.
- 긴축정책으로 국내수요가 크게 위축돼 상반기 영국의 GDP 성장률은 분기 0.7%의 성장세를 유지했지만 하반기에는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0.2~0.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O 소매경기 재냉각 우려
- 최근의 유가 재인상, 이자율 상승 및 부동산 경기의 주춤세는 가계 가처분 소득의 축소 기미를 제공해 소매 경기 냉각.
□ 2008년 하반기 우리나라의 대영 수출전망
O 하반기 약 32억 달러 수출로 전년동기대비 -7%의 성장이 예상되며, 이는 2008년 약 63억달러 수출량 달성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7.5% 성장 전망
구 분 |
단 위 |
2008년 상반기 |
2008년 하반기 |
2008년 |
금 액 |
백만 달러 |
3,100 |
3,200 |
6,300 |
증감률 |
% |
- 8% |
- 7% |
- 7.5% |
O 원화 약세로 인한 가격경쟁력 확보
- 특히 일본제품과 경쟁양상을 보이는 자동차·고급 가전·광학제품, TFT-LCD의 경우 원화의 대미달러 약세에 더해 엔화 약세로 인해 경쟁력 확보 가능
O 무선통신기기의 선전 지속 예상
- 대영국 총수출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는 무선통신기기의 경우,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계적 디자이너와의 제휴를 통한 디자인폰, 5메가픽셀 카메라폰, 최슬림형 3G 휴대폰 단말기 등 제품경쟁력을 통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매우 높으며, 영국 주요 통신사의 납품확대로 하반기에도 수출실적이 매우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O 평판디스플레이 수출호조세 및 반도체 수출 반등 예상
- 무선통신기기 다음으로 수출비중이 높은 품목 중 평판디스플레이의 수출은 호조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그 가격인하로 인해 매출액 면에서는 상반기 수준 유지 기대.
- 핸드폰 메모리 수요 확대 및 DRAM 가격회복으로 인한 반도체 수출 회복 기대
O 선박 수출 호조세 지속 전망불구 전년대비 수출실적 큰 타격
- 한국의 선박 수출은 지난해에 이어 올 해 상반기에도 기록적인 수주를 달성했으며, 이 추세는 하반기에도 지속될 전망임.
- 전년도 세자리 수 성장을 통해 대영수출에 절대 기여했던 선박 수출실적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면서 전반적인 수출실적에 타격
O 원화 절하 및 원자재 가격 폭등에 따른 수출 기업의 채산성 악화
- 수출중소기업들의 경우 최근의 원화약세 및 유가 및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인한 운송비 및 제조단가 상승 등으로 인한 기업채산성 악화로 영어 차질 예상
O 영국 자동차 판매시장 위축
- 대영국 총수출의 약16%를 차지하던 자동차 품목 수출에 있어 최근 영국 내 자동차 시장위축 등 불리한 시장환경 및 주재국 내 환경정책 강화에 따른 친환경 차량생산에 있어 기술적 열세 등으로 인한 일본·독일차에 대한 시장경쟁력 약화로 수출부진 우려
- 영국 자동차 판매시장 위축 및 현대·기아차의 터키·체코·슬로바키아 등 현지공장 확대에 따른 국내 완성차 수출수요 감소지속
O 가전기기, 컴퓨터, 섬유류, 석유화학제품의 수출부진 전망으로 전체적으로는 5% 증가 선에서 머물 것으로 예상
O 오는 하반기부터 영국을 포함한 EU지역 내 REACH 사전등록제 발효 등으로 인해 각종 관련 산업 내 기존 수출업체들의 수출 간 추가비용 발생 및 전략적 차질이 전망됨.
□ 수출유망품목
O 영국 내 수요증가 및 한국제품 인지도/신뢰도 제고로 대한 수입 꾸준한 증가세
O 온도조절기 및 냉온방기(8402): 지난 해 네자리 수 성장을 기록한 후 올 해 역시 4월말 기준 4177만불 수출을 통해 446.2% 성장
O 건설광산기계(8429) : 자주식 불도저, 앰들도저, 그레이더, 레벨러 등 : 전년도 80%의 성장을 통해 8000만 달러 이상의 수출을 기록했으며 올 해 4월말 기준 4053만1000달러 수출로 98.8% 증가
O 철강 및 비철 금속 제품류
- 철강관(6141), 봉강(6141), 동괴 및 스크랩(6221), 철강재 용기(6161), 도금강판(6137), 아연도금판 (6134), 철강선(6142), 철강 및 비합금강형강(6111) : 지난 해 42.6% 성장에 이어 올해 4월 현재 411만4000달러의 수출을 통해 4596.2%라는 기록적 증가세 유지
자료원 : 통계청, World trade Atlas, KITA, CBI, 재영경제인연합회, 무역관 정보 종합
'유럽 , 아프리카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스 의사, 획기적 당뇨병 치료법 개발 (0) | 2008.09.30 |
---|---|
스페인, 음료수용 캔 재활용에서 예술로 승화 (0) | 2008.09.30 |
독일, 전자레인지 제품 동향 (0) | 2008.09.30 |
스위스, 고물가 속 소비자 행태 변화 (0) | 2008.09.30 |
독일, 세계에서 물값이 가장 비싼 나라로 꼽혀 (0) | 2008.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