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표시제 의지있나?
MBC | 기사입력 2008.06.21 09:30 | 최종수정 2008.06.21 10:00
◀ANC▶
지난달 30만톤의 유전자변형 옥수수가 수입되는 등 GMO 수입이 늘어나면서 안전성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가 모든 가공식품에 대해 GMO 사용 여부를 표시하도록 하겠다고 나섰는데, 자세히 들여다봤더니 반쪽짜리 대책입니다.
임명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VCR▶
시중에 유통중인 식용유와 간장입니다.
GMO 콩을 원료로 만들었지만,
뒷면엔 수입산 콩을 원료로 썼다고만
표시돼 있습니다.
물엿도 마찬가집니다.
◀INT▶김윤희 / 주부
"주부들이 보기에 이런 것들이 한 눈에
안 돼 있으니까 좀 불편한 상황이 많죠"
콩기름이나 간장, 물엿 등의 제품들은
가공하고 나면 GMO 성분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현재까진 표시 의무가 없습니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GMO 식품을 피하고 싶어도
피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앞으로 모든
가공식품에 대해 GMO 사용 여부를
반드시 표시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문제는 GMO 혼입율입니다.
현재 규정대로는 과자나 빵 등 가공식품에서
GMO 양성 반응이 나와도,
원료로 쓰인 GMO가 3% 미만이면
아예 GMO 식품이 아닌 것으로 분류됩니다.
반면 EU는 0.9%만 넘으면 GMO로 분류합니다.
시민단체들도 소비자들의 GMO 선택권을
보장하려면 EU처럼 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나 농식품부는 일단 연구 용역을 주고
이 결과를 토대로 챠차 기준 강화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계획입니다.
◀INT▶김재옥 회장/소비자시민모임
"우리로선 일단 (GMO가) 들어간 건 들어갔다고
표시를 해달라는 건데 정부의 속도가 느리다"
지난해 수입된 GMO 식품은 14억달러에 육박해,
전년보다 40% 가량 늘어났지만
아직까지 정부는 GMO 표시를 어떻게 강화할지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임명현
(임명현 기자 epismelo@imbc.com)
'유기농, GM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단체 압력에 업계 곤혹 (0) | 2008.06.27 |
---|---|
소비자는 GMO 0% 원하지만…원가 부담 (0) | 2008.06.27 |
GMO 사용·비사용 기업, 소비자 선택은? (0) | 2008.06.05 |
계속되는 GMO 안전성 논란, 소비자는 불안 (0) | 2008.06.05 |
[사이언스리뷰]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안전성 (0) | 2008.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