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도 너무 싸다"…중국 MZ들 열광한 '핫템' 정체는[食세계]
중국, 높아진 빵 값 부담에 냉동 베이킹 제품 인기
냉동 베이킹 시장 2021년 기준 111억 위안
8년 만에 5.5배 성장…베이킹류 붐에 힘입어
상온 제품보다 최대 80% 싸고, 보관도 쉬워
마트는 물론 커피 프랜차이즈 등서도 선봬
냉동 베이킹 시장 2021년 기준 111억 위안
8년 만에 5.5배 성장…베이킹류 붐에 힘입어
상온 제품보다 최대 80% 싸고, 보관도 쉬워
마트는 물론 커피 프랜차이즈 등서도 선봬
- 등록 2025-02-01 오후 3:26:59김은비 기자
- 수정 2025-02-01 오후 3:54:36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중국에서 냉동 빵 제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가격이 저렴한데다, 오랜기간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이다. 최근 중국 내 1인 가구 증가로 간편 조리를 선호하는 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1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 따르면 중국 냉동 베이킹 제품 시장 규모는 2013년에 20억 위안에 불과했지만, 2021년에는 111억 위안으로 8년 만에 5.5배 성장했다. 연간 복합성장률(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은 23.9%에 달하며, 이같은 시장 규모는 2032년에는 9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냉동 베이킹 시장은 중국 내 베이킹 제품 자체의 증가에 기인한다. 한 중국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베이킹 제품 구매 빈도에 대해선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베이킹 제품을 구매한다고 응답한 소비자가 전체 응답자의 90.6%에 달했다.
냉동 베이킹 제품은 중국 내에서 기업과 소비자들 양쪽 시장에서 모두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기업들의 경우 냉동 베이킹 제품은 핵심 생산 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여 제품을 납품받는 매장의 인건비와 제조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하고, 냉동 기술 덕분에 제품의 신선도와 맛을 유지하면서 최대 6개월 이상의 유통기한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중국 내 창고형 슈퍼마켓인 샘스클럽(Sam’s Club), 코스트코(Costco) 등은 모찌빵, 젤리롤케이크, 두리안 크레이프 케이크 등의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제품들은 합리적인 가격과 뛰어난 맛으로 중국내 SNS에서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으며,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슈퍼마켓에서도 다양한 맛의 피자, 두리안 빵, 에그타르트 등이 인기다. 없어서 못 살 정도다. 스타벅스, 루이싱커피, 헤이티 등 음료 및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에서도 냉동제품을 납품받아 약간의 조리만 거쳐 판매하기 시작했다.
소비자들 입장에서도 냉동 베이킹 제품 가격은 상온 베이킹 제품 가격의 30~80% 수준에 불과해 부담 없이 소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샘스클럽(Sam’s Club)에서 판매되는 베이글 가격은 7개 들어있는 가격이 23.8위안(개당 약 3.4위안)에 불과하다. 저렴한 가격과 안정된 품질 덕분에 2023년 중국 샘스클럽의 온오프라인 전체 베이커리 제품 매출액은 27억 5000만 위안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중국 내 1인 가구 증가로 ‘홈코노미’, ‘혼밥’ 등이 사회 현상으로 자리 잡으면서 냉동 베이킹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는 더욱 커지고 있다. 에어프라이어, 전자레인지, 오븐 등 소형 가전제품의 대중화도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코트라 관계자는 “현지 냉동 베이킹 제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선 안정적인 제품 품질 유지, 합리적인 가격, 빠르게 변하는 소비자 입맛에 기민하게 반응하는 신속함이 필요하다”며 “특히 최근 중국 정부의 식품 안전 요구 사항과 관련 제 규정이 엄격해짐에 따라, 관련 요건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냉동 베이킹 시장은 중국 내 베이킹 제품 자체의 증가에 기인한다. 한 중국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베이킹 제품 구매 빈도에 대해선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베이킹 제품을 구매한다고 응답한 소비자가 전체 응답자의 90.6%에 달했다.
냉동 베이킹 제품은 중국 내에서 기업과 소비자들 양쪽 시장에서 모두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기업들의 경우 냉동 베이킹 제품은 핵심 생산 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여 제품을 납품받는 매장의 인건비와 제조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하고, 냉동 기술 덕분에 제품의 신선도와 맛을 유지하면서 최대 6개월 이상의 유통기한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중국 내 창고형 슈퍼마켓인 샘스클럽(Sam’s Club), 코스트코(Costco) 등은 모찌빵, 젤리롤케이크, 두리안 크레이프 케이크 등의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제품들은 합리적인 가격과 뛰어난 맛으로 중국내 SNS에서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으며,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슈퍼마켓에서도 다양한 맛의 피자, 두리안 빵, 에그타르트 등이 인기다. 없어서 못 살 정도다. 스타벅스, 루이싱커피, 헤이티 등 음료 및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에서도 냉동제품을 납품받아 약간의 조리만 거쳐 판매하기 시작했다.
소비자들 입장에서도 냉동 베이킹 제품 가격은 상온 베이킹 제품 가격의 30~80% 수준에 불과해 부담 없이 소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샘스클럽(Sam’s Club)에서 판매되는 베이글 가격은 7개 들어있는 가격이 23.8위안(개당 약 3.4위안)에 불과하다. 저렴한 가격과 안정된 품질 덕분에 2023년 중국 샘스클럽의 온오프라인 전체 베이커리 제품 매출액은 27억 5000만 위안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중국 내 1인 가구 증가로 ‘홈코노미’, ‘혼밥’ 등이 사회 현상으로 자리 잡으면서 냉동 베이킹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는 더욱 커지고 있다. 에어프라이어, 전자레인지, 오븐 등 소형 가전제품의 대중화도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코트라 관계자는 “현지 냉동 베이킹 제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선 안정적인 제품 품질 유지, 합리적인 가격, 빠르게 변하는 소비자 입맛에 기민하게 반응하는 신속함이 필요하다”며 “특히 최근 중국 정부의 식품 안전 요구 사항과 관련 제 규정이 엄격해짐에 따라, 관련 요건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식품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마트 노브랜드 '한입 쌀과자'서 수세미 추정 이물 혼입...판매중단.회수 (0) | 2025.02.03 |
---|---|
"K매운맛 남다른 이유는 '이것'…고추장, 식품 반도체로 키워야" (1) | 2025.02.02 |
"설날 떡국 잘 안 먹어요!"… 쌀 소비량 30년 새 반토막 (0) | 2025.02.01 |
편의점 도시락·즉석밥도 저속노화가 대세…‘맵단짠’ 그만 드세요 (0) | 2025.02.01 |
하루 '즉석밥 1개' 분량…韓 쌀 소비량 '역대 최저'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