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망] UAE 쌀 시장동향
- 현지 쌀 수요는 현지 외국인 인구 분포에 따라 예측 가능 -
- 쌀 수출 확대를 위해 품종, 가공식품 및 요리 개발 필요-
□ 시장 현황
ㅇ 상품명 및 HS Code
- 상품명: 쌀(HS Code 1006.10, 1006.20, 1006.30, 1006.40)
ㅇ 선정 사유
- 사막기후 지리적 이유로 인해 식음료 수입대국인 UAE 식품시장에서 쌀 시장은 약 17억 아랍에미리트 디르함(약 4억6000만 달러) 소비시장으로 최근 10%의 성장률을 기록함. 1인당 쌀 소비가 세계에서 가장 큰 국가 중 하나임.
ㅇ 시장규모 및 동향
UAE 쌀 매출 현황
(단위: 백만 아랍에미리트디르함)
자료원: 유로모니터
- 사막기후의 지리적 여건으로 현지 대규모의 쌀 생산은 없으며,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음.
- 인구분포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남아시아인 등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2017년은 전년대비 9.5% 성장률과 2012년 대비 약 55% 성장률이 예상됨.
- 쌀의 종류로는 인디카 쌀로 전 세계 쌀 생산량의 90%를 차지함. 열대지방에서 생산되며, 특징이 찰기가 없고, 길쭉한 장립종임, 그다음으로 자포니카 쌀로 찰기가 많고, 짧은 단립종이며, 동북아시아에서 생산량의 9%를 차지함. 마지막으로 자바니카 쌀로서 인디카와 자포니카의 중간 형태로 전 세계 쌀 생산량의 1%를 차지함.
- 쌀마다 큰 영양학적으로 차이가 없으나, 전분의 구성요소인 아밀로오스 함유량 적을수록 찰기가 있음.
□ 수입 현황
ㅇ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UAE 정미 수입 현황(HS Code 100630)
순위 | 국가명 | 수입액(백만 달러) | 비중(%) | ||||
2014 | 2015 | 2016 | 2014 | 2015 | 2016 | ||
- | 전체 | 808 | 944 | 839 | 100.0 | 100.0 | 100.0 |
1 | 인도 | 466 | 760 | 655 | 57.72 | 80.49 | 78.06 |
2 | 파키스탄 | 227 | 124 | 120 | 28.09 | 13.12 | 14.29 |
3 | 태국 | 41 | 20 | 22 | 5.03 | 2.11 | 2.61 |
4 | 베트남 | 16 | 20 | 20 | 1.92 | 2.15 | 2.34 |
5 | 미국 | 7 | 6 | 11 | 0.93 | 0.66 | 1.36 |
6 | 이집트 | 3 | 4 | 5 | 0.39 | 0.45 | 0.53 |
7 | 오스트레일리아 | 7 | 7 | 4 | 0.81 | 0.69 | 0.44 |
8 | 이탈리아 | 0.5 | 0.6 | 0.7 | 0.07 | 0.06 | 0.08 |
9 | 스리랑카 | 0.7 | 0.6 | 0.6 | 0.09 | 0.06 | 0.07 |
10 | 필리핀 | 0.2 | 0.2 | 0.3 | 0.02 | 0.03 | 0.03 |
12 | 한국 | 0.3 | 0.3 | 0.2 | 0.04 | 0.04 | 0.02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서남아시아 지역 국가인 인도·파키스탄이 92% 이상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인 태국·베트남이 5%을 차지하고, 마지막으로 미국·이집트·오스트레일리아 등 나머지가 3% 차지함.
- 2016년 전체 물량이 전년대비 다소 감소했으나, 미국으로부터 수입 물량은 오히려 증가함.
- UAE 수입 물량의 반 이상이 인근 중동지역인 이란, 오만, 리비아 등으로 재수출됨.
- 현지 수요 증가로 쌀 창고 및 가공 공장이 신규 설립되고 있음.
ㅇ 대한 수입 규모 및 동향
- UAE의 대한국 수입액은 2016년 기준으로 약 20만 달러를 나타냈으며, 점유율은 0.02%로 12위를 차지함.
ㅇ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 인디카 쌀은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재배되는 바스마티 쌀(Basmati Rice), 태국에서 재배되는 재스민 쌀(Jasmine Rice)이 대표됨.
- Daily Fresh Foods사가 Silver Swan 브랜드로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음. 약간의 차이로 Pinehill Arabia Food사가 Indomie 브랜드로 경쟁을 하고 있음.
- 매일 소비하는 식품으로 현재 고품질 소량보다 저렴한 대용량이 주요 수요 품목군임.
UAE 쌀 주요 기업별 시장점유율 (단위: %)
업체명 | 2015 | 2016 | 2017 |
Daily Fresh Foods Ltd | 11.36 | 11.48 | 11.71 |
Pinehill Arabia Food Ltd | 10.91 | 10.85 | 10.72 |
KRBL Ltd | 8.19 | 8.55 | 8.75 |
Tilda International Ltd | 6.04 | 6.28 | 6.48 |
BURVI Enterprises | 5.14 | 5.41 | 5.62 |
Mehran Spice & Food Industries | 4.03 | 4.15 | 4.23 |
Nestlé Middle East FZE | 3.98 | 3.97 | 3.94 |
Abdallah Abbar & Sons Cold Stores Co | 3.66 | 3.79 | 3.91 |
Mars GCC | 3.38 | 3.61 | 3.71 |
Modern Arab Distribution Ltd | 2.85 | 3.02 | 3.12 |
United Kaipara Dairies Co(PSC) | 2.23 | 2.30 | 2.32 |
Majid Al Futtaim Hypermarkets LLC | 1.84 | 1.79 | 1.76 |
QualPro Ltd | 1.16 | 1.15 | 1.16 |
Barilla Holding SpA | 1.13 | 1.13 | 1.08 |
Tat Hui Foods Pte Ltd | 1.06 | 1.07 | 1.02 |
Pastalini Food Processing Industries (LCC) | 0.96 | 0.95 | 0.93 |
Monde Nissin Corp | 0.54 | 0.54 | 0.56 |
Emirates Macaroni Factory | 0.34 | 0.35 | 0.34 |
Other Private Label | 0.15 | 0.15 | 0.16 |
Others | 31.07 | 29.45 | 28.49 |
Total | 100.00 | 100.00 | 100.00 |
자료원: 유로모니터
주요 브랜드 TOP 11
순위 | 브랜드명 | 사진 | 제조사(점유율) | 가격대(kg) |
1 | Silver Swan | | Daily Fresh Foods (14.91%) | AED60/10kg |
2 | India Gate | | KRBL (8.78%) | AED96/10kg |
3 | Tida | | Tilda International (8.25%) | AED55/5kg |
4 | Al Sinnara | | BURVI Enterprises (7.16%) | AED38/5kg |
5 | Mehran | | Mehran Spice & Food Industries (5.39%) | AED47/5kg |
6 | Daawat | | Abdallah Abbar & Sons Cold Stores (4.98%) | AED52/5kg |
7 | Uncle Ben's |
| Mars GCC (4.72%) | AED37/5kg |
8 | Sun White | | Modern Arab Distribution (3.98%) | AED74/10kg |
9 | Classic Mumtaz | | United Kaipara Dairies (2.96%) | AED65/10kg |
10 | Bab Al Hind | | KRBL (2.37%) | AED49/5kg |
11 | Carrefour No 1 (Private Label) | | Majid Al Futtaim Hypermarkets (2.07%) | AED35/10kg |
자료원: 유로모니터, 브랜드별 홈페이지
- Carrefour, LuLu 등 Hypermarket 같은 경우 자체 유통 브랜드로 상품을 판매함.
Egyptian RICE(AED28/5kg)
자료원: LuLu
현지 수퍼마켓 매장 상품 진열
자료원: KOTRA 두바이 무역관
ㅇ 관세율, 수입 규제 및 유통구조
- HS Code 1006.10, 1006.20, 1006.30, 1006.40 수입관세율 면세(0%)임.
- 수입규제로 공통적인 제품에 대한 ESMA의 ECAS 인증과 할랄인증이 있음.
- 토호국별 수입 시 사전승인 있음. 두바이 정부 식품부서는 FIRS(Food Import Re-Export System)를 통해 수입 사전등록 관리
- 유통구조는 오프라인인 현대적인 소매점의 하이퍼마켓(65%)과 슈퍼마켓(25%), 전통적인 독립된 소매점(약 8%)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온라인 유통은 약 2% 규모임.
□ 시사점
ㅇ (입맛 차이 한계 극복 필요) 한국의 동북아 온대기후에서 생산되는 자포니카 쌀은 열대기후에 생산되는 인디카 및 자바니카 쌀과 다른 고유의 특징이 있음.
- 이러한 특징으로 발달한 음식문화도 또한 다름. 이미 자기의 음식문화에 익숙한 현지 남아시아인 등의 입맛과 가격이 바로 현지 수요 물량의 결정요인임.
- 쌀의 기후적, 음식문화적 특징 차이로 발생한 맛의 차이를 좁혀감으로써 자포니카 쌀의 세계화를 이룩하는 것이 우리 한국 쌀 수출의 근본적인 해결점이 될 것임.
- 미국은 넓은 대륙으로 인해 다양한 기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자포니카, 인디카 등 전반적인 쌀 생산이 가능함. 중국 또한 동일한 특징이 있음.
- 매년 2회 이상 개최되는 현지 국제 식품 전시회 관련 행사 참가를 통해 다양한 곡물을 주원료로 한 가공식품 및 음식시장 트렌드를파악하고, 향후 진출전략을 세우기를 추천함.
ㅇ (건강식품 이미지 구축) 현지 UAE 고소득층을 이루는 자국민과 미주 유럽인 등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굉장히 높음. 우수한 자포니카 쌀 품종 개발과 함께 밀가루 중심에서 쌀가루 중심의 빵, 파스타, 국수 등 다양한 맛의 음식 개발이 필요할 것임.
- 현지 쌀 소비 촉진 및 시장규모 확대를 위해 현지 보건당국 및 유력 보험사, 현지 호텔외식, 식품가공기업, 유통 경쟁사도 함께 협력해서 쌀 상품 차별화와 함께 대중화가 될 수 있도록 장기적인 프로젝트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아울러 차별화된 기능쌀인 가바쌀 소개도 필요함.
ㅇ (주요 수출품목으로 육성) 한국의 쌀은 단순히 식량자원 확보뿐만 아니라 재배 생산 관련 산업에서 식품가공 및 유통 판매, 음식 서비스, 축제 관광, 국민 건강, 자연환경 및 생태계 보존 등에 이르기까지 전방위로 파급되는 분야가 큰 요소임.
- 줄어가는 자국 소비와 수입 쌀로 인해 계속 생산량이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국 소비 촉진외에 수출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무엇보다 필요함.
- UAE 쌀시장은 분명한 수요가 있는 좋은 시장임. 중동,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 다양한 소비계층이 모여 있는 이곳을 테스트 시장으로 선정, 현지 시장 수출에 성공한다면 분명 우리 한국 쌀의 세계화는 시간문제일 것임.
- 또한 한국 쌀 세계화에 성공한다면 지정학적으로 식량자원 생산이 없는 부호 중동 국가들은 한국 농경지에 투자유치할 기회가 될 것임.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유로모니터,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체조사 및 자료 종합
'유럽 , 아프리카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EU 신관세법 주요 내용과 시사점 ① (0) | 2018.01.02 |
---|---|
[유망] UAE 음료 시장동향 (0) | 2017.12.21 |
국물이~ 끝내줘요! 남아공 수프제품 인기 (0) | 2017.12.21 |
[유망] 파나마 알로에 음료 시장동향 (0) | 2017.12.21 |
영국도 저출산…프리미엄 영유아식 부상 (0) | 2017.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