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중국 O2O, 요즘은 체험형이 대세 | ||||||||||||||||
---|---|---|---|---|---|---|---|---|---|---|---|---|---|---|---|---|---|
게시일 | 2016-04-11 | 국가 | 중국 | 작성자 | 김성애(베이징무역관) | ||||||||||||
중국 O2O, 요즘은 체험형이 대세 - 온라인 급성장 속 짝퉁, 불량상품 불만소비자 다시 오프라인으로 발돌려 - - 해외직구, 화장품, 관광 등 홍보 플랫폼으로 활황, 해외상품의 빠른 배송도 장점 - - 한국 제품 강점을 활용한 오프라인 체험매장 활용 중요 -
자료원: 징추망(荊楚網)
□ 中 O2O 방식은 변화 중
○ O2O란 통상 ‘Online To Offline’의 줄임말로 온라인에서 제품을 주문하고 오프라인에서 받는 서비스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Offline To online’이란 새로운 거래 형태가 부상 중 - 소비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품을 직접 체험한 후 온라인으로 결제하는 거래 형식의 O2O가 대세 -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O2O 체험관에서 제품을 체험한 후 해당 제품의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모바일 기기 등으로 스캔해 온라인으로 결제하는 방식으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
○ 스마트폰의 등장과 모바일 기술의 발달은 신형 O2O의 발전을 추진하는 역할을 담당 - 2015년 중국 인터넷 사용자 수는 6억8800만 명, 그중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는 6억2000만 명으로, 전체 사용자의 90.1%를 차지(중국 인터넷 정보센터 ‘중국 인터넷 발전 상황 통계 보고’) - 중국 인터넷 보급률은 50.3%, 즉 인터넷을 사용하는 중국인이 이미 절반 이상 - 또,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 중 3G/4G 인터넷 사용자의 비율은 88.8%에 달했음.
○ ‘Offline To online’ 체험관이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은 주로 중국 온라인 소비시장의 급성장과 소비자의 불만에서 비롯된 결과 - 2015년 중국 온라인 소비시장은 전년대비 33.3% 성장한 3조8773억 위안 규모에 도달, 전반 소매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2.9%에 이르렀음. - 그러나 직접 상품을 보고 체험할 수 없고 가짜 상품 등 문제로 소비자들의 불만도 높은 편 - 중국소비자협회가 2015년 접수한 온라인 구매 관련 불만은 2만83건, 그 중 전자상거래가 95.41%를 차지하는 1만9162건, 전년도보다 3.13%p 증가
중국 온라인 시장 규모 자료원: 중국 국가통계국
□ 사례① 해외직구 체험매장
자료원: 베이징 상보(北京商報)
○ 특히 국제전자상거래 O2O(Offline To online) 체험관은 최근 해외소비재를 저렴하고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는 유통경로로 소비자들로부터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 중국 소비자의 해외 수입품수요가 대폭 증가하면서 국제전자상거래 규모도 2015년 5조 위안을 넘어섰음. - 최근 중국 국제전자상거래 O2O 체험관은 해당 제품의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스마트폰 등으로 스캔, 온라인 결제를 완성하면 제품 입수 가능한 편의성까지 더해졌음. - 기존의 하이타오족(海淘族·해외직구족)뿐만 아니라 해외 수입제품에 관심이 없던 소비자들도 O2O 체험관을 통해 제품에 대해 알게 되면서 새로운 소비를 이끌어내는 거래 방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음. - 향후 소비자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고, 또 편의성까지 더해진 O2O 체험관은 해외 소비재 유통의 새로운 주류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
중국 수출입 규모 및 국제전자상거래 규모 추이 자료원: 중국 국가통계국, iResearch
○ 현재 베이징시에는 약 20개 국제전자상거래 O2O 체험관이 설립돼 있으며, 2016년 내 약 10개를 증설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베이징 상보) - 베이징의 국제전자상거래 O2O 체험관은 주로 보세구 내 설립한 전시형 체험관, 백화점과 마트에 설립한 체험관, 그리고 전자상거래 업체가 설립한 독립 매장형 등으로 구분
베이징 국제전자상거래 체험관 분류
자료원: KOTRA 베이징 무역관
○ 전자상거래 업체와 보세구, 자유무역지대 등 관련 업체와 기관들은 ‘콰징거우’(跨境購)체험관을 개설해 소비자들에게 해외직구 상품 체험의 장을 열어주었음. - 중국 해관에서는 O2O 체험관에서 구입한 상품에 대해 간이통관을 실시해 전자상거래 기업 대상 창고·물류·통관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
○ 전자상거래-결제-물류 플랫폼이 중국 해관과 직접 연계돼 있는 경우 - 소비자는 구매하려는 물품의 바코드(또는 QR코드)를 스캔해 온라인 주문 및 결제가 바로 가능하며, 신속한 배송이 이루어짐.
○ O2O 플랫폼이 해관과 연결돼 있지 않은 경우 - 소비자는 구매하려는 물품을 계산대에서 주문, 온라인 결제 및 물류회사 정보 제공을 통해 구매한 물품을 배달받도록 함.
□ 사례② 중국 화장품 해외직구 사이트 쥐메이유핀(聚美優品)
자료원: 중진온라인(中金在線)
○ 중국의 대표적인 해외직구 사이트인 쥐메이도 가짜 제품 판매 논란을 겪은 뒤 O2O시대에 발 빠르게 대응 - 쥐메이유핀(聚美優品)은 한자로 아름다움을 모은 우수한 상품이라는 뜻으로 2010년 설립돼 중국 최초로 화장품 공동구매를 시작 - 설립 첫 달 매출은 10만 위안에 불과했지만 1년 뒤 연매출 1억5000만 위안을 기록하며 폭발적인 성장을 이뤄냈음. - 2013년에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했지만 2014년 7월 불거진 가짜제품 판매 논란은 커다란 타격, 상장한 후 뉴욕 증시에서 최고 38달러에 육박했던 주가는 5개월 사이 12달러까지 추락
○ 가짜제품으로 실추한 이미지를 복구하기 위해 쥐메이는 고객들을 위한 화장품 추천 체험행사, 전문 스킨케어 서비스 등 O2O(Offline To online) 체험의 장을 마련 - 2014년 초 베이징 전통거리 첸먼(前門)에 개설한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소비자가 직접 상품을 체험할 수 있게 됐음. - 또, 중국 최대 모바일 메신저 웨이신의 지불결제 대행 서비스 ‘웨이신즈푸’(微信支付)를 도입해 결제 편의성을 높였음. - 이듬해 3월 초에는 왕푸징(王府井)에 총 500㎡의 2호점 증설
○ 쥐메이의 다른 O2O 체험장은 ‘급속(極速) 면세점’ - 해외직구 시장 공략을 위해 만든 ‘급속 면세점’ 코너는 쥐메이가 정품을 보장하는 해외 유명 화장품들이 진열돼 있음. - 고객들은 해외와 거의 동일한 가격으로 유명 화장품을 위안화로 구매할 수 있으며, 주문 후 3일 이내 수령도 가능 - 2015년 3월 1일 창립기념 프로모션 활동기간 3일간 매출 10억 위안 기록 - 2014년 중국 전자상거래연구센터에 의해 ‘소비자가 만족하는 최고의 온라인쇼핑몰’로 선정되기도 했음.
□ 전망 및 시사점
○ ‘Offline To online’라는 새로운 거래방식의 부상은 중국 전자상거래 과정에서 가짜 제품, 품질 저하 등 원인으로 소비자들의 불신이 커져가고 있음을 반증 - 2015년 온라인 구매 관련 소비자 불만에서 95%는 전자상거래 과정에서 발생 - 전자상거래상의 품질 저하, 가짜제품 등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체험매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 중국 대형 유통사들도 제품 및 서비스를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O2O 시장에 이미 진출했거나 진출 준비 중 - 티몰, 징둥닷컴, 완다몰, 화룬완자(Vanguard) 등 중국의 유명 온라인몰과 거대 유통회사들이 체험관을 통한 O2O서비스를 제공 중 - 체험관에서 상품을 직접 사용해본 후 QR코드 등을 통해 모바일에서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춰져 있음.
○ 품질 좋고 가격 경쟁력이 있는 우리 상품을 중국 소비자들에게 알리는 창구로 활용해야 - 중국 청상망(誠商網) CEO 톈쥔(田軍)은 ‘품질, 가격 면에서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우수한 한국 제품은 중국 시장에서의 전망이 밝을 것’이라고 밝혔음. · 청상망은 중국 상무부 산하 중국국제전자상거래센터(CIECC)에 속한 국부상통정보기술발전이 운영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임. - O2O 체험관은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한국의 중소기업에도 좋은 기회가 될 것이며, 인증 및 수입통관 등 제한이 많은 상품들에도 큰 기회가 될 전망 - 한편, 우리 기업들은 해외직구 상품 체험관의 설립지역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함. 백화점이나 마트에 위치한 체험관은 인산인해를 이룬 반면, 시중심 지역과 거리가 먼 보세구 내 체험관은 상대적으로 한산한 편임.
자료원: SOOTOO(速途硏究院), 중상정보망(中商情報網), 베이징상보(北京商報) 및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분유시장 규모 1221억 위안 (0) | 2016.05.07 |
---|---|
중국인들이 뜨거운 관심을 보이는 ‘건강보조식품’ (0) | 2016.05.07 |
중국의 한국기업 M&A 현황 (0) | 2016.04.18 |
농식품부, 대 중국 경쟁력 강화 특별추진단 구성 (0) | 2016.04.15 |
중국 라벨링제도 (0) | 2016.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