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중국 프랜차이즈 외식업 시장 분석 | |||||||||||||||||||
---|---|---|---|---|---|---|---|---|---|---|---|---|---|---|---|---|---|---|---|---|
게시일 | 2015-10-08 | 국가 | 중국 | 작성자 | 김주리(다롄무역관) | |||||||||||||||
품목 | 품목코드 | |||||||||||||||||||
중국 프랜차이즈 외식업 시장 분석
□ 중국 프랜차이즈 외식업 시장 추세
○ 중국은 예로부터 식문화를 매우 중시해왔으며, 외식업은 현재 중국 3차산업의 지주산업임. - 소비 패턴과 특성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음. - 프랜차이즈 규모 확대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음. - 외식업 내 그룹화, 브랜드화, 산업화, 글로벌화, 현대화가 점점 가속화되고 있음.
○ 현재 중국 외식산업계에서 프랜차이즈화는 상당히 활성화돼 있음. - 2013년 기준 중국 외식산업 100대 기업 중 41%가 직영방식이나 혹은 도급경영 방식을 채택했으며, 59%의 기업이 직영+가맹 형태의 경영방식을 채택함. - 최근 몇 년간 중국 외식산업은 18년 연속 두 자리 수 성장률을 기록함. - 향후 17% 이상의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보여 산업 전망은 매우 밝은 상황임.
○ 대표적인 중식 패스트푸드 브랜드 - 상하이(上海) 롱화지(荣华鸡), 정저우(郑州) 홍가오량(红高梁), 우한(武汉) 차이린지(蔡林 记) 러깐몐(热干面), 라오퉁청(老通城) 떠우피(豆皮), 스지메이(四季美) 탕빠오(汤包), 톈 진(天津) 거우부리빠오즈(狗不理包子), 윈난(云南) 궈차오미셴(过桥米线), 란저우(兰州) 니우러우다오샤오몐(牛肉刀削面)과 니우러우라몐(牛肉拉面), 닝보(宁波) 쟈신탕위엔(夹心 汤圆), 타이완(台湾) 떠우쟝다왕(豆浆大王) 등 수많은 종류의 지역 브랜드가 존재하며, 값이 비교적 저렴하고 다양한 맛을 자랑함.
□ 중국 프랜차이즈 외식산업 시장 한계
○ 기업 이미지 관리 및 경영전략상의 문제가 있음.
○ 음식의 겉모습과 맛에만 지나치게 신경 쓰고 직원 서비스 교육 등 일명 ‘소프트 지표’ 관리에는 소홀
○ 관리가 규범화 혹은 표준화돼 있지 않음.
□ 외식산업 발전 전망
○ 더욱 치열한 외식 브랜드 경쟁 - 기존의 단순 가격경쟁에서 메뉴 경쟁, 브랜드 이미지 경쟁, 문화 경쟁에 이르기까지 경쟁의 폭이 점점 넓어지고 있는 추세임. - 외식업계는 만족스러운 한 끼 식사 제공을 통해 소비자들의 생리적인 욕구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욕구까지 동시에 만족시켜야 함. - 기업의 브랜드가치 경쟁이 점차 치열해지는 양상임. - 현지 지역 중심에서 대외적으로, 소도시에서 중·대도시로, 동부 연안지역에서 중서부 내륙지역으로 발전이 확대되고 있음.
○ 각광받는 저탄소 외식산업 - 중국의 저탄소 경제정책 추진에 따라, 외식산업 또한 친환경이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함. - 통계에 따르면 외식산업은 중국 소비시장 중 증가세와 성장세가 가장 뚜렷한 산업으로, 2013년 중국 외식산업 매출액은 전년(2012년) 동기대비 11.2% 성장을 기록함. - 외식산업의 친환경 저탄소 성장은 에너지자원 사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에게 더욱 안심하고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분위기를 제공할 것임.
○ 외식업계 인력 부족이 산업 발전 저해 - 통계에 따르면 현재 외식산업 종사자 수는 2200만 명에 달하며, 신규 취업자 수는 100만 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남. - 반면 외식업계는 급여 인상, 복지후생 개선 등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음.
○ 식품가공센터 및 물류배송기지 역할 점차 중요 - 현재 다수 프랜차이즈 외식업체는 식품가공센터와 물류배송기지를 보유하고 있음. - 그러나 가공품목이 다양하지 않으며 대부분은 아직 매장에서 최종 완성되고 있음.
□ 경쟁동향
○ 주요 브랜드
□ 중국 진출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1선 도시는 아직 경쟁이 치열하며 운영비용이 많이 들어 리스크가 큼. 이에 반해 2, 3선 도시는 아직 시장이 비교적 넓으며 외식프랜차이즈점 성공 확률이 높음.
○ 가맹브랜드 측에서 반드시 제품 출시에서부터 기업문화, 서비스 등 여러 방면에 걸쳐 더욱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음.
○ 중국 사업을 위해서는 반드시 일정 경제규모 이상을 갖추어야 하며, 가맹 프로젝트 역시 그룹화 돼야 브랜드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
자료원: 중국가맹망(中国加盟网), 콰이찬망(快餐网), 촹예즈쉰(创业资讯), 지식연구데이 터연구센터(智研数据研究中心) 및 KOTRA 다롄 무역관 자료 종합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고강도 식품안전법 시행, 식품산업에 새로운 변화 이끌듯 (0) | 2015.11.17 |
---|---|
中 질검총국, 57개 수입식품기업에 대해 통제조치 시행 (0) | 2015.11.17 |
중국, 고강도 식품안전법 10월부터 시행위법 행위에 처벌 대폭 강화…식품산업 새로운 변화 이끌듯 (0) | 2015.10.20 |
중국 샤먼, 한류 열풍으로 한국 치킨 인기 높아 (0) | 2015.10.06 |
중국 변화하는 중국의 영유아 분유시장 (0) | 2015.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