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 |
차(茶) 수입대국 모로코 시장특성 | |||
작성일 | ![]() |
2010-11-08 | 작성자 | ![]() |
이상미 ( 709442@kotra.or.kr ) |
국가 | ![]() |
모로코 | 비즈니스센터 | ![]() |
카사블랑카KBC |
차(茶) 수입대국 모로코 시장특성 - 모로코, 1인당 녹차소비 세계 1위, 차(茶) 수입 세계 11위- - 민트·설탕 등 감미료 첨가 선호 성향 -
□ 1인당 차(茶) 소비 세계 최대
○ 2007년을 기준으로 모로코는 세계11위 차(茶) 수입국으로 연간 5만5075톤, 9702만3000달러 어치를 수입
○ 모로코 사회에서 차(茶)는 개인 기호의 상등 차원을 넘어, 사교 및 접대에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오랜기간 자리매김 - 카페, 식당, 가정에서 모로코 전통차인 ‘민트티’는 반드시 등장하는 필수식품
2007년 세계 차(茶) 수입량 및 수입액 (단위 : 톤, 천 달러)
자료 : FAOSTAT
○ 녹차는 민트티의 기초로 사용됨. 2005년 기준 모로코 국민 1명당 약 1kg의 녹차를 소비해 세계 1위 기록 - 2005년 모로코의 녹차소비량은 한국의 14배 상당
2005년 주요 녹차소비국 천 명당 녹차소비량 (단위 : kg)
자료 : Euromonitor International
□ 중국산 수입 지속 증가
모로코, 국가별 차(茶) 수입량 및 수입액 추이 (2009년 수입액 기준) (단위 : 톤, 달러)
자료 : 모로코 외환청(Office des changes)
2009년 주요 원산지별 차(茶) 수입비율 (수입액 기준) 자료 : 모로코 외환청(Office des changes)
○ 2009년 기준 모로코의 중국산 수입액은 1억261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약 97.7%를 차지했음. 아랍에미리트· 이집트 등의 중동아프리카권이 1.6%,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권이 0.4%, 독일· 프랑스·이탈리아 등의 유럽권이 0.3%를 차지
○ 주요 HS Code별 수입량 및 수입액 추이
3kg 미만 포장 녹차 (HS Code 0902.10.00.00) 수입량 및 수입액 추이 (단위 : 톤, 달러)
자료 : 모로코 외환청(Office des changes)
3kg 미만 포장 외 녹차(HS Code 0902.20.00.00) 수입량 및 수입액 추이 (단위 : 톤, 달러)
자료 : 모로코 외환청(Office des changes)
□ 잎차 선호, 설탕 및 민트 첨가 음용 특성
○ 대부분 모로코인은 차(茶)를 주전자에 우려서 마시므로 티백보다 잎차상품이 적합함. 티백차는 사무실 등 주전자에 차를 우릴 수 없을 경우만 이용
○ 대부분 모로코인은 차(茶)에 설탕을 첨가하고, 북부지방은 다양한 차를 혼합해 마심. 주로 민트, 녹차, 설탕을 넣고 우려마심. 모로코인이 원하는 차(茶) 향의 퀄리티는 첨가물 없이 차(茶)를 마시는 국가보다 낮을 것이라 예상됨.
□ 주요 차(茶)제품 및 가격 동향 (단위: 달러)
※주 : 1USD = 8.0 DH 자료 : 모로코 유통체인 Acima
□ 고관세 진입 장벽
○ 모로코는 차 수요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나 3kg 미만 차(茶) 경우 수입관세가 59.85%이고 그 외의 경우 녹차는 42.75%, 홍차 및 발효차는 51.30%로 상당히 높음.
HS Code별 모로코 차(茶) 수입관세 (단위: %)
자료 : 모로코 관세청
□ 시사점
○ 모로코는 세계 최대 녹차소비국으로 한국시장의 약 14배에 해당함. 모로코는 고관세로 농업분야를 보호하는 바, 차(茶) 수입 또한 고관세로 진입 장벽이 있음. 하지만 모로코 차(茶)시장의 97.6%를 점유한 중국 또한 고관세에 해당하므로 우리 기업도 가격경쟁력과 품질을 갖춰 모로코 차(茶)시장 진출 노력이 필요함. 또한 지속적인 시음행사를 진행해 중국산 대비 높은 퀄리티를 어필하기를 권고함.
자료원 : 모로코 외환청, 관세청, FAOSTAT, Euromonitor International 및 코트라 카사블랑카 KBC 자료 종합 |
'유럽 , 아프리카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목 스웨덴, 커피도 럭셔리 열풍 (0) | 2011.04.17 |
---|---|
제목 ‘컵 푸드’ 유럽 소비자에게도 인기 (0) | 2011.04.17 |
제목 이집트, 즉석식품 수요 증가세 (0) | 2010.11.28 |
제목 UAE 기호식품도 웰빙 추세 (0) | 2010.11.28 |
제목 헝가리, 에너지 드링크시장 급성장 (0) | 2010.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