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 지방

식약청발표 가공식품중의 트랜스지방 함량

곡산 2006. 12. 14. 19:17
 

□ “트랜스지방” 이란?

   ○ 버터나 라드의 대용품으로 개발된 경화유는 액상의 식물성 유지에 수소를 첨가하여 제조함.

   ○ 자연에 존재하는 유지의 이중결합은 시스형태로 수소가 결합되어 있으나 경화(수소첨가)과정을 거친 유지의 경우에는 일부가 트랜스 형태로 이중결합의 수소가 전환됨.

   ○ 유지의 이중결합에 수소의 결합이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 지방산을 가진 지방을 트랜스지방이라 함.

      

□ 트랜스지방의 유해성 논란 

   ○ 심혈관계 질환과의 관계

      역학조사에서 트랜스지방과 심혈관계 질환 유발의 밀접한 관계를 보고

      - 혈액 내 나쁜 콜레스테롤(LDL)수치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좋은 콜레스테롤(HDL) 수치를 낮춰 포화지방보다 건강에 더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짐

   ○ 기타 질환과의 관계

      알레르기, 면역력 저하, 암, 당뇨 등 다른 질병과의 연관성이 제기되었으나  아직까지는 확실하지 않음.


□ 국제적 동향 및 관리 현황

   ○ 식품 표지에 “트랜스지방”, “경화유” 표시를 의무화하거나, 트랜스지방 규격을 설정하는 등 식품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

   ○ 미국, 유럽 등은 가공식품 중 트랜스지방의 저감화 노력이 활발 


   ○ 각국별 트랜스지방 관리 현황

     - 덴마크 : ‘04년 1월 가공식품에 함유된 지방 중 트랜스 지방 함량이 2%이상인 경우 유통판매 금지

     - 미  국 : ‘06년 1월부터 영양표시항목에 트랜스지방 함량 표시

     - 캐나다 : ‘05년 12월부터 영양표시항목에 트랜스지방 함량 표시

     - 일  본 : 아직까지 규제조치 없음.

            ※ ‘04년 7월 식품안전위원회의 위해평가 결과에 따라 일본인의 식생활을 고려하여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판단

     - WHO : 하루 섭취열량 중 트랜스지방에서 기인되는 열량이 1%를 넘지 않도록 권고 

            ※ 2,000kcal 기준시 트랜스지방 약 2.2g에 해당


□ 우리나라의 트랜스지방 추정 섭취량

   ○ 마아가린, 쇼트닝을 포함한 가공유지의 생산, 수입 등을 고려하여 평가할 때 트랜스지방 추정 섭취량은 전체 칼로리의 0.7% 가량으로 평가됨.

       ※ 세계보건기구 WHO 권고기준 1% 이하

       ※ 국민의 지방 섭취량은 미국, 캐나다 등의 약 50%정도 수준

          우리나라(42g), 미국(79g), 캐나다(109g), 영국(87g), 일본(57g)


   ○ 국내의 트랜스지방 극단 소비층을 포함한 개인별 섭취량 조사는 ‘06년 식약청 연구용역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임. (4월 용역과제 공고 예정)


   ○ 우리나라는 지방 및 트랜스지방 추정섭취량으로 볼 때 미국, 캐나다 등비하여 위험한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되나, 소비자의 알권리 보호 및 국민보건향상을 위하여 정부차원의 능동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

국내 유통 가공식품 중의 트랜스지방 함량 모니터링 결과

제  품  유  형

트랜스지방 함량 (g/100g)

(평균값 ± 표준편차)

유 지 류

식용유지

1.0 ± 0.5

쇼트닝 ․ 마가린

14.4 ± 10.2

과 자 류

비스킷류

2.8 ± 2.1

초콜릿 가공품

3.2 ± 2.4

스낵류

1.2 ± 2.2

전자렌지용 팝콘

11.0 ± 0.1

팝콘

0.1 ± 0.1

제 빵 류

빵  류

0.6 ± 0.8

케잌류

2.5 ± 1.7

도우넛

4.7 ± 1.7

패스트푸드류

햄버거

0.4 ± 0.4

피  자

0.4 ± 0.2

후라이드 치킨

0.9 ± 1.3

감자튀김

2.9 ± 1.9

튀김용 냉동감자

3.5 ± 2.4

튀김류

0.3± 0.2

기    타

마요네즈

ND

커피프림

ND

인스턴트 스프 (분말)

0.2 ± 0.2

※ 동 분석결과는 ‘04~’05년 국내 유통되는 가공식품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로서,

   제품별 생산 시점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ND : Not Detected (불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