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 GMO

[스크랩] 유럽의 유기농 인증

곡산 2005. 11. 9. 15:27

BDIH 인증

BDIH는 환경과 인류 건강에 관심을 갖는 독일의 제약기업, 건강용품회사 및 식품회사, 화장품회사 등이 모여 천연원료 사용, 환경보호, 동물실험 반대 등 을 실천하는 연합단체입니다. 그러지만 참여 기업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된 심사기관으로 활동하여 엄격한 환경기준을 적용하고 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회원기업에서 탈락시키는 등 소비자 편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유기농 자연화장품으로서 인정을 받으려면 BDIH에 가입한 후 오일, 왁스, 추출물 등의 천연원료가 유기농장 또는 야생 그대로 수확된 것이어야 하며 그러한 기준에 부합하는 상품에만 자연화장품 인증이 부여됩니다.

www.bdih.de

 

ECOCERT(에코서트)

에코서트는 각 국의 농수산부 및 경제성으로부터 인가를 받은 기구로 농산물 및 그 가공품이 관련 법규에따라 유기농 제품 여부를 검사, 인증해 주는 독립기관입니다.
세계 50여개 이상의 국가들에서 유기농 제품에 대한 조정 및 인증을 하는 기구이며 유럽 전지역에 위치하여 2천여명의 전문가들이 유럽공동체 EEC의 법률 2092/91조의 유기 품질관리에 대한 규정에 따라 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인증을 위하여 공식적으로 년1회, 그리고 비 공식적으로 수시로 방문을 해서 재배와 생산의 모든 단계에서 에코서트의 자문을 받고 수시로 검사를 받게 되며 이런 과정을 통해 생산된 제품은 최종 검사를 마친 뒤에유기인증을 받게 되며 12~18개월의 기간 동안만 유기농 인증을 해주고 있습니다

http://www.ecocert.fr

 

COSMEBIO(코스메바이오)

프랑스의 자연, 유기농 화장품 인증기관입니다. 인증을 받기 위한 조건으로 최소 95%이상의 자연재료 또는 자연에서 추출된 원료 사용과 96%이상의 식물성 원료가 반드시 유기농 재배이어야 합니다. 현재 40여개 유기농 화장품 회사가 인증에 참여하고 있고 그 수가 확대중입니다.
제품의 인증 및 제품 생산의 모든 과정에 대한 통제는 Ecocert에서 수행합니다.

- BIO : cosmetic ecological and biological
· 제품 성분 중 10% 이상이 유기농 인증을 획득하여야 함
· 전체 식물 성분 중 95% 이상이 유기농 인증을 획득하여야 함
· 제품 성분의 95% 이상이 천연성분이어야 함
 
- ECO : cosmetic ecological
· 제품 성분 중 5% 이상이 유기농 인증을 획득하여야 함
· 전체 식물 성분 중 50% 이상이 유기농 인증을 획득하여야 함
· 제품 성분의 95% 이상이 천연성분이어야 함

 

France Logo AB

유기농 농업 인증 마크라고도 불리우며 최소 95%이상의 유기농 성분을 만족하여야 부여되는 마크입니다. AB 로고가 붙어 있는 제품 및 식품은 프랑스 및 유럽의 유기농 생산 기준을 만족하며 생산된 제품입니다.

• AB 로고를 획득한 제품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합니다.
- 본래부터 식용을 목적으로 재배된 농산물.
- 관련 법률을 준수하여 재배할 것.
- 성분의 95% 이상이 유기농 원료이어야 함.
- 프랑스 정부로 부터 승인된 인증기관의 관리하에 생산 및 제조하여야 함.
- 유기농 작물 및 원료는 생산단계에서 부터 명확히 추적가능하여야 함.
- 원재료는 EU(European Union) 지역 내에서 재배되어야 함
   (※ 열대 작물 및 커피, 코코아 같은 식물 원료 제외)

http://www.agriculture.gouv.fr/

 

Belgium BIOGARANTIE

벨기에의 Biogarantieⓡ 인증은 ECC No. 2092/91을 준수하여 재배, 생산된 제품임을 증명합니다. 유기농 제품 준수하여 생산된 제품임을 유기농 생산물의 재배, 가공, 유통, 판매의 각 단계에서 통제하고 조절합니다.
Biogarantieⓡ 인증은 유럽 기준보다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환경친화적인 이유로 PVC, 알루미늄 포장재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인증을 부여한 제품들에 대한 사후관리도 철저하게 이루어지며 주기적으로 엄격하고 집중적인 테스트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www.biogarantie.be

 

German Bio-SIEGEL

유기농 분야에서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앞서있던 독일에서는 제조업체, 인증단체, 소매업장 등이 제안한 200여개 이상의 유기농 인증이 난립하여 소비자은 선택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에 독일 정부는 통합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2001년 Bio-Siegel 인증을 도입하여 소비자들이 한눈에 유기농 상품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새로운 Bio-Siegel 인증은 기존의 인증과 표준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보다는 슈퍼마켓, 할인마트 등에서 소비자에게 쉽게 인지될 수 있는 보편적인 기준의 역할을 하며 EU의 ECC No. 2092/91을 준수하여 생산된 제품임을 증명합니다. 실제로 Bio-Siegel 등장 이전부터 선도적인 역할을 하던 Demeter, Bioland 등의 브랜드는 EU의 ECC No. 2092/91보다 더욱 엄격한 제품 기준을 두고 있습니다.
- 제한사항
· 식품에 방사선 조사 금지
· 유전자 조작 금지
· 화학적 방법에 의한 식물 재배 금지
· 용해성이 높은 무기 화학비료 사용 금지

www.bio-siegel.de 자료출처:허브몰(유기농이야기)


 
출처 : 웰빙 도우미 아로마 |글쓴이 : 나의향기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