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캐나다등

칠레, K-콘텐츠 확산으로 K-푸드 인기도 상승

곡산 2025. 4. 29. 07:46
칠레, K-콘텐츠 확산으로 K-푸드 인기도 상승
  • 트렌드
  • 칠레
  • 산티아고무역관 김죽현
  • 2025-04-28
  • 출처 : KOTRA

 

칠레인들 사이에서 나날이 높아지는 한국 음식의 인기

K-콘텐츠 관심으로 높아지는 K-푸드의 인기

 

한국과 칠레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서로 다른 식문화를 지니고 있다. 대부분의 요리에 고추, 마늘, 간장 등 강한 맛의 양념이 들어가는 한국 요리와는 대조적으로 칠레의 전통음식인 아사도(asado, 칠레식 바비큐)와 카수엘라(cazuela, 여러가지 재료를 넣은 국물 요리)는 고추 등 강한 향신료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쌀이 주식인 한국과 달리 칠레는 빵이나 감자를 이용한 요리를 기본적으로 섭취하며 쌀은 부수적인 재료이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최근 한국 음식이 칠레에서 호평받고 있다. 넷플릭스 등 스트리밍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한국 음식과 식문화에 대한 관심도 높아진 것이다. 특히 산티아고 수도권에서 한식당과 한국 음식의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2024년 칠레의 식품 대외수입에서 한국은 수입대상국 30위를 기록하며 낮은 순위대에 머물렀다. 그러나  1900만 달러로 전년대비 74% 급증했다. 특히 조제 식료품(151.5%), 과실(163.2%), 당류·과자(114.3%) 수입이 전년대비 100% 이상 증가했고, 음료·주류, 베이커리 제품 또한 수입액 증대에 큰 역할을 했다.

 

조제 식료품 수입의 경우, 2023년 칠레 경제 위축 및 물가 상승의 여파로 수입이 감소했다. 그러나 2024년 경제 회복세에 따라 특히 커피 조제품(인스턴트 커피 등)의 수입이 약 5배 증가하며 2024년 수입품목 중 1위를 기록했다. 뿐만 아니라, 한국 라면의 수요증가에 따라 곡물 조제품 수입 또한 지난 3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음료 및 주류의 경우, 2023년에는 수입이 감소했으나 K-드라마 등 한류 인기에 힘입어 캔음료, 액상 파우치 음료 수요가 증가했고, 2024년에는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 칠레의 對한국 주요 식품 수입품목 >

(단위: US$ 천, %)

HS
코드
품목명 2022 2023 2024
금액 증감률
21 각종 조제 식료품 9,260 4,490 11,290 151.5
22 음료·주류·식초 4,518 2,598 3,674 41.4
19 곡물 조제품과 베이커리 제품 837 1,344 1,736 29.1
12 과실류, 식물류 360 469 1,235 163.2
20 채소과실견과류 조제품 986 1,270 356 -71.9
13 검·수지·그 밖의 식물성 수액과 추출물 219 209 216 3.3
03 어류·갑각류·연체동물·그 밖의 수생 무척추동물 242 272 158 -41.9
16 육류·어류·갑각류·연체동물·그 밖의 수생 무척추동물 또는 곤충의 조제품 53 110 114 3.4
17 당류와 설탕과자 61 50 108 114.3
09 커피ㆍ차ㆍ마테ㆍ향신료 67 53 47 - 11.2
총계 16,635 10,924 18,983 73.8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

  

칠레 내 한인마트와 한식당 현황

 

2024년 주칠레대한민국대사관이 발간한 ‘한국의 맛 가이드 2024(Guia Sabor Corea 2024)’에 따르면 현재 칠레에서 운영 중인 한인마트는 16개, 한식당은 58개이다. 대부분의 식당과 마트는 수도 산티아고 내 파트로나토(Patronato), 프로비덴시아(Providencia), 라스콘데스(Las Condes), 비타쿠라(Vitacura) 등 지역에 밀집되어 있다. 하지만 이 외에도 비냐 델 마르(Viña del Mar), 킬푸에(Quilpué), 랑카구아(Rancagua), 이키케(Iquique), 푼타 아레나스(Punta Arenas) 등 지방 도시에도 한식당이 존재한다.

 

2023년 재외동포재단 정보 기준, 칠레에 거주하는 한국 교민수는 약 2300명 정도다. 한국 교민수를 감안하면 현재 칠레에서 운영중인 식당과 마트들이 한국인뿐 아니라 현지인들 또한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 특히, 코로나 시기를 거치며 칠레에서 스트리밍 플랫폼 사용이 일반화 되고 이를 통해 K-컨텐츠, K-푸드가 대중화되면서, 2023년 상반기에만 산티아고 내 13개 이상의 신규 한식당이 문을 열었다. 

 

최근 오픈한 한식당과 마트의 분포지역을 살펴보면, K-푸드가 일부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은 현지인들이 즐기던 음식에서 더 나아가 일식, 중식처럼 일반 대중들이 일상생활에서 편하게 찾는 음식으로 점차 변모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예전에는 칠레 산티아고 내 한인타운이라 불리는 파트로나토 지역에 대부분의 한식당과 한인마트가 몰려 있었다면, 최근에는 산티아고 내의 대표적 상업 중심지인 프로비덴시아, 라스콘데스, 비타쿠라 등에도 한식당, 한국식품 마트 등이 속속 문을 열고 있다. 이는 칠레에서 한식이 대중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 소비 한국 식품은 라면, 과자, 주류

 

KOTRA 산티아고 무역관이 파트로나토 소재 대표 한인마트 3곳을 인터뷰한 내용에 따르면, 한인마트의 주요 판매품은 라면, 과자, 주류 등이며 20~40대가 주 고객층이다. 한인마트 관계자 D씨는 "넷플릭스에서 유행하는 한국 드라마의 영향으로 드라마에 나온 특정 제품을 찾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밝히며, "한국 제품을 찾는 현지인들이 점차 늘어서, 최근에는 주말의 경우에는 현지인들이 길게 줄을 서서 물건을 구입하는 경우도 자주 있다"고 말했다. 

 

<칠레 한인마트 3곳의 주요 판매품과 고객층>

상호명 소재지 내용
마트 A 파트로나토 - 주 판매품: 라면, 음료
- 주 고객층: 20-30대 여성, 칠레인
마트 B 파트로나토 - 주 판매품: 라면, 김치, 과자
- 주 고객층: 남녀노소 다양한 연령대, 칠레인 비중 70% 이상
마트 C 파트로나토 - 주 판매품: 라면, 소주
- 주 고객층: 20~40대 여성, 칠레인

[자료: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2025]

 

한편, 드라마를 통해 한식을 접한 칠레 소비자들이 드라마에 등장하는 편의점 음식에도 관심을 가지면서, 편의점 스타일의 매장 또한 늘어나고 있는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2024년 하반기에만 편의점 스타일 매장 2곳이 신규 오픈했다. 현지인들의 이 같은 관심사에 발맞추어 최근에는 즉석 라면조리기를 갖춘 매장까지 등장했다. 이처럼 한국 편의점 스타일로 인테리어한 매장이 생기면서, 매장에서 즉석조리기로 라면을 조리해먹거나, 파우치 액상 커피를 취향에 따라 구입해서 편의점 스타일 간이 좌석에 앉아 음료를 마시는 칠레인들의 모습도 심심치않게 볼 수 있게 됐다.

 

 

 

시사점

 

2023년 칠레 현지 언론이 18~44세 현지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식 선호도 및 소비 습관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100%가 한류 영향으로 K-푸드를 접촉한 것으로 나타났다. 18~25세는 K-팝, 35~44세는 K-드라마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한 달에 1회 한식을 먹는 응답자는 48%, 한식당에서 먹는 응답자는 64%로 나타났다. 이런 흐름에서, 최근 한식은 일식, 중식만큼 현지인들이 쉽게 찾고 즐기는 대중적인 음식이 돼가고 있다. 

 

또한 편의점 스타일의 매장 또한 등장해 현지인들의 한식에 대한 수요가 단순히 한식을 섭취하는 것에서 나아가 한국인들이 한식을 소비하는 방식과 문화에까지 이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K-푸드에 대한 칠레인들의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만큼, 한인마트뿐 아니라 일반 대형 체인마트에서도 한국식품을 구매하려는 수요 또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칠레 현지에서의 한식의 인기와 대중성을 고려했을때, 칠레 식품시장 또한 우리나라 기업들이 충분히 문을 두드려볼 만한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매년 열리는 칠레 최대 식품 전시회인 FOOD & SERVICE는 칠레 식품시장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현지 관계자들을 만나기에 최적의 전시회이므로 칠레 식품시장 진출에 관심있는 우리 기업이라면 참가를 적극 고려해볼만 하다. 올해 FOOD & SERVICE는 9월 30일~10월 2일 진행될 예정이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현지 언론(The Clinic) 외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