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인도네시아] 할랄 제품 개발, 인도네시아 경제 성장 동력으로 부상

곡산 2025. 1. 31. 22:10

[인도네시아] 할랄 제품 개발, 인도네시아 경제 성장 동력으로 부상

 

 

ㅁ 주요내용

 

 ㅇ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기획부(Bappenas) 라흐맛 팜부디 장관은 2025-2029년 국가중기개발계획(RPJMN)의 핵심 과제로 할랄 제품 개발을 위한 세 가지 중점 사항을 제시했음

 

 ㅇ 할랄 제품에 대한 이해도 향상, 서비스 품질 개선, 그리고 할랄 제품 보증을 위한 협력 강화가 그 핵심임

 

 ㅇ 팜부디 장관은 22일 자카르타 바뻬나스 청사에서 하이칼 하산 할랄인증청(BPJPH) 청장과 만나 “국립대학 운영 지원 예산을 통해 지역 특화 자원 기반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대학 내 법률 연구 센터 설립 계획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음

 

 ㅇ 이는 인도네시아 할랄 생태계 강화의 시급성을 강조하는 2025-2029년 국가중기개발계획(RPJMN)의 할랄 제품 보장(JPH) 시행 혁신 우선순위 명시와 맥을 같이 함

 

 ㅇ 인도네시아는 2023년 세계 이슬람 경제 지표에서 80.1점을 기록하며 세계 3위에 올라섰음. 이는 세계 할랄 생태계에서 인도네시아의 전략적 입지를 공고히 하는 결과임

 

 ㅇ 2024년 제정된 제42호 정부령(할랄 제품 보증 시행에 관한 법령)은 이러한 의지를 뒷받침함

 

 ㅇ 해당 법령은 국내 유통되는 모든 제품의 의무적인 할랄 인증, 자가 선언을 통한 인증 절차 간소화, 영세 및 소규모 사업자를 위한 무료 인증 신청 등을 규정하고 있음

 

 ㅇ 할랄인증청(BPJPH)의 성과도 눈에 띄게 향상되고 있음. 2025년 1월 18일 기준, 일반 할랄 인증서(SH)는 93,661건이며, 할랄 인증 제품은 총 5,815,583개에 달하며, 이 중 61.36%가 자가 선언 범주에 속함. 서부 자바는 일반 절차를 통해 410,963개 제품에 할랄 인증을 부여하며 최다 인증 지역으로 기록됐음

 

 ㅇ 팜부디 장관은 전국 16개 주에 33개의 자체 할랄검사기관(LPH)를 운영하는 등 할랄 제품 증가 추세는 인도네시아를 세계 할랄 경제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음

 

 ㅇ 그는 “할랄인증청(BPJPH)과 국가개발기획부(Bappenas)의 협력이 세계적인 경쟁력과 포용성을 갖춘 할랄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전략적 단계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음

 

ㅁ 시사점

 

 ㅇ 향후 5개년 국가중기개발계획을 통해 세계 할랄중심 국가로 자리 잡고자 하고 있어 할랄에 대한 중요도가 점차 높아져 가는 상황임

 

 ㅇ 할랄제품 보장에 관한 법률 2024년 42호에 의거 수입식품에 대한 할랄인증 의무화 최대 2년 유예(2026.10.18.) 발표

 

 ㅇ 인도네시아 국내 대기업 식품 할랄인증 의무화는 2024.10.18.부터 정상 시행되나 인니 국내 중소영세기업 및 수입식품에 대한 할랄인증 의무화의 경우 2년 유예

    * 인도네시아 할랄인증청(BPJPH) 대통령 직속 기구로 지위 격상 및 청장 교체

 

 ㅇ 수입식품에 대한 할랄인증 의무화*가 2년 유예되었지만 현지 대기업 제품은 이미 할랄인증 의무화가 시작되었으며, 전체 인구의 87%가 무슬림으로 할랄인증 여부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K-푸드의 원활한 수출을 위한 할랄인증 취득 필요

    * 1)하람제품, 2)하람성분이 들어간 제품, 3)신선농산물을 제외한 모든 식품은 할랄인증 대상으로 할랄인증을 취득해야 히며, 할랄인증 미취득시 비할랄 표시(돼지 오염 문구 등) 후 인도네시아로 수출이 가능

    * 하람제품, 하람성분이 들어간 제품은 식약청 라벨링 규정에 의거 표시하면 수출이 가능

 

 ㅇ 인니는 세계 4위의 인구대국이자 무슬림 국가 중 K-푸드의 최대 수출 대상국으로서, 한-인니 할랄인증 상호인정 협정 체결의 필요성 증대 

 

 ㅇ 상호인정 시 국내 수출기업의 인증기관 접근성 강화, 소요 비용 및 시간 절약 가능으로 국내 수출업체 부담 완화 효과 제고  



=> 한국이슬람교(KMF), 한국할랄인증원(KHA),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부산인도네시아센터(BIC) 4개 기관 상호인정체결 완료



* 출처 : Republika(2025.01.22)


문의 : 자카르타지사 한태민(htaemin0930@a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