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망] 중국 유제품 시장동향
- 1인당 소비량은 국제평균 이하로 시장 잠재력 매우 커 -
자료원: 바이두
□ 상품 기본정보 및 관세율
HS Code | 품목명 | 기준세율 | 협정세율 | 양허유형* |
04011000 | Of a fat content, by weight, not exceeding 1% | 15% | 2017년 15% | E |
04012000 | Of a fat content, by weight, exceeding 1% but not exceeding 6% | 15% | 2017년 15% | E |
04014000 | Of a fat content, by weight, exceeding 6% but not exceeding 10% | 15% | 2017년 15% | E |
04015000 | Of a fat content, by weight, exceeding10% | 15% | 2017년 15% | E |
주*: 기존 관세율 유지
자료원: 관세청
□ 선정 사유
ㅇ 국민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유제품 소비시장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향후 중국은 유제품 최대 소비시장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
- 최근 몇 년간 요거트 등의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화촉진, 다이어트 효능 등 요소들이 수요 증가를 촉진시킴.
- 미국 등 유제품 소비대국 대비 중국의 1인당 소비량은 세계 평균수준의 1/3에 그치고 있어 소비확대 공간이 매우 큼.
- 시장 침투율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2~3선 도시와 농촌에서 더 큰 시장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
· 침투율: 1선 도시 90%, 2~3선 도시 70%, 농촌 20%
일인당 유제품 소비량 점유율
자료원: 즈옌리서치(智研咨询)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유제품 시장규모는 꾸준히 증가추세를 유지할 전망
- 2016년 시장규모는 3602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3.6% 상승했으며, 2021년까지 CAGR 6.1%로 성장해 4835억 위안에 달할 전망
ㅇ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품목은 요거트로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감.
- 2016년 우유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3% 감소한 반면, 요거트는 1032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23% 상승
- 2021년에는 2207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2016~2021년 CAGR 16.4%로 성장할 전망
유제품 시장규모 및 예상추이
(단위: 천만 위안)
자료원: Euromonitor
분야별 증가율(단위: %)
구분 | 2015/2016 | 2016/2017 | 2016~2021 CAGR | 2016/2021 Total |
우유 | -3.0 | -1.7 | -0.1 | -0.6 |
요거트 | 23.0 | 18.1 | 16.4 | 113.8 |
치즈 | 21.5 | 25.1 | 19.4 | 143.0 |
버터 | 12.3 | 17.7 | 12.2 | 77.8 |
기타 | 3.1 | 2.6 | 3.4 | 18.4 |
합계 | 3.6 | 4.4 | 6.1 | 34.2 |
ㅇ 치즈시장 역시 성장추세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젊은 층에서 인기를 끎.
- 2021년 시장규모는 102억3000만 위안으로 2016년의 42억1000만 위안 대비 143%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
- 치즈 판매량은 2016년에서 2021년까지 평균 12.8%의 성장률로 2021년에는 3만8800톤에 달할 것으로 보임.
ㅇ 고령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중노년층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중노년 분유 시장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룸.
- 관련 통계에 따르면, 2016년까지 60세 이상 노년 인구는 2억3000만 명이며 향후 매년 0.6% 상승률로 2053년에는 5억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
- 지난 몇 년간 시장규모는 꾸준히 증가해 2016년에는 177억2800만 위안 기록
- 이에 따른 잠재 구매력도 빠르게 확대하고 있는 추세로 향후 2020년에는 9조2000억 위안에 달할 전망
중노년 분유 시장규모
자료원: 산업정보망
ㅇ 유아용 분유시장은 안정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6년 판매액은 844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2.3%의 소폭적인 하락세를 나타냄.
- 2012년부터 2016년까지 CAGR 7.3%를 기록했으며, 2017년에는 863억 위안에 달할 전망
- 2015년 및 2016년에 약간의 감소세를 나타냈으며, 이는 출생률 감소 및 해외직구 증가 등 요소가 작용
영유아 분유 판매규모 및 증가율
자료원: 중상정보망
ㅇ 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2017~2021년 중국 유제품 산업 발전전망 및 투자전략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음.
- 2016년 생산량은 전년대비 7.6% 상승한 2993만2000톤이며, 2017년 1~8월 누계 생산량은 1981만3000톤으로 전년동기대비 0.8% 상승
- 2017년에는 3059만 톤에 달해 전년대비 소폭 상승할 것으로 보임.
유제품 생산량 및 증가율
자료원: 산업연구원
ㅇ 국가통계국의 조사에 따르면 2016년 규모이상 생산업체 수는 627개에 달함.
- 총 매출액은 3181억5000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5.59% 상승했으며, 순이익은 232억4000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13.12% 상승
- 대표 유업 회사인 Yili와 Mengniu는 여전히 높은 시장점유율로 올해까지 3년 연속 선두지위를 차지했으며, 2017년에는 각각 22% 및 21.8%로 성장할 전망
생산업체별 시장점유율 순위
순위 | 생산업체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E |
1 | Inner Mongolia Yili Industrial Group Co., Ltd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 18.7 | 20.5 | 21.2 | 22.0 |
2 | China Mengniu Dairy Co., Ltd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 18.5 | 18.4 | 20.2 | 21.8 |
3 | Bright Food(Group) Co., Ltd[光明食品(集团)有限公司] | 5.6 | 5.0 | 4.9 | 4.8 |
4 | Hebei Yangyuan Zhihui Beverage Co., Ltd (河北养元智汇饮品股份有限公司) | 4.2 | 4.8 | 4.0 | 3.4 |
5 | Hangzhou Wahaha Group Co., Ltd (杭州娃哈哈集团有限公司) | 6.6 | 5.4 | 4.1 | 3.4 |
6 | Want Want Holdings Ltd(旺旺控股有限公司) | 3.8 | 3.3 | 2.7 | 2.4 |
7 | Nestlé SA(雀巢公司) | 2.6 | 2.3 | 2.1 | 2.0 |
자료원: Euromonitor
ㅇ 주요 생산지역은 허베이성, 네이멍구 자치구, 허난성임.
- 허베이성은 유제품 생산대국으로 젖소 사육량은 연평균 200만 마리로 중국 전역 총 사육량의 1/8에 해당하며, 2017년 상반기 생산량은 178만7100톤으로 1위를 차지
2017년 상반기 지역별 생산량 순위
순위 | 지역명 | 생산량(만 톤) |
1 | 허베이 | 178.71 |
2 | 네이멍구 | 169.29 |
3 | 허난 | 140.00 |
4 | 산둥 | 118.63 |
5 | 스촨 | 84.71 |
6 | 헤이룽장 | 82.69 |
7 | 장쑤 | 81.47 |
자료원: Sohu
ㅇ 유제품 수입규모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보임.
- 2016년 수입액은 6억4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32% 상승했으며, 2017년 1~9월 누계 수입액은 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5.4% 상승함.
- 최근 3년간 최대 수입국은 뉴질랜드, 프랑스, 독일 순임.
- 2016년 뉴질랜드 수입액은 1억9000만 달러로 전체 수입규모 중 29.7%의 비중을 차지해 최대 수입국으로 자리매김함.
- 2016년 대한 수입액은 1050만 달러로 1.7%의 비중을 차지함으로써 7위에 머무름.
- 품질 및 안전성은 소비자가 분유 구매 시 주요 감안요소이며, 2008년 분유파동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여전히 수입산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
유제품 수입규모
(단위: 백만 달러, %)
자료원: 무역협회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국가명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1~9월) | ||||
수입액 | 증가율 | 수입액 | 증가율 | 수입액 | 증가율 | 수입액 | 증가율 | |
뉴질랜드 | 83.0 | 43.2 | 115.1 | 38.8 | 188.5 | 63.7 | 248.0 | 93.6 |
프랑스 | 70.8 | 54.3 | 68.0 | -4.0 | 130.0 | 91.2 | 114.9 | 1.1 |
독일 | 125.4 | 81.7 | 152.0 | 21.2 | 158.2 | 4.1 | 108.0 | -8.0 |
호주 | 49.4 | 98.9 | 64.8 | 31.1 | 66.2 | 2.2 | 47.0 | 0.5 |
영국 | 12.0 | 231.2 | 14.2 | 18.5 | 22.3 | 56.9 | 22.4 | 30.5 |
스페인 | 2.3 | 1,750.2 | 3.5 | 50.4 | 6.6 | 92.7 | 11.5 | 129.6 |
한국 | 15.7 | 76.9 | 17.4 | 10.9 | 16.2 | -6.5 | 10.5 | -12.4 |
폴란드 | 6.0 | 156.2 | 7.5 | 24.1 | 10.8 | 44.4 | 8.0 | -10.5 |
벨기에 | 8.7 | 68.9 | 4.7 | -46.2 | 8.3 | 77.7 | 6.5 | 16.0 |
아일랜드 | 0.3 | 7.8 | 1.7 | 525.8 | 5.6 | 230.8 | 5.1 | 39.1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선호 요소별 점유율
자료원: 산업정보망
ㅇ 주로 슈퍼마켓, 하이퍼마켓, 식료 잡화점 및 온라인 몰 등 루트를 통해 유통·판매하고 있으며 채널별 시장점유율은 아래와 같음.
유통채널별 시장점유율 순위
유통채널명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E |
Modern Grocery Retailers | 58.5 | 60.1 | 62.3 | 63.8 |
- Convenience Stores | 3.4 | 3.5 | 3.6 | 4.2 |
- Discounters | 0.3 | 0.3 | 0.3 | 0.3 |
- Hypermarkets | 15.9 | 16.5 | 17.3 | 17.9 |
- Supermarkets | 38.9 | 39.9 | 41.0 | 41.4 |
Traditional Grocery Retailers | 35.6 | 33.0 | 29.5 | 27.1 |
- Food·drink·tobacco specialists | 0.8 | 1.0 | 1.2 | 1.3 |
- Independent Small Grocers | 19.2 | 17.7 | 15.5 | 14.0 |
- Other Grocery Retailers | 15.6 | 14.3 | 12.8 | 11.8 |
Internet Retailing | 5.9 | 6.9 | 8.2 | 9.1 |
자료원: Euromonitor
□ 경쟁동향
ㅇ Yili
| Inner Mongolia Yili Industrial Group Co., Ltd.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 ||
회사소개 | - 홈페이지: www.yili.com - 법인대표: 潘刚(Mr. Pan Gang) - 설립연도: 1993년 6월 4일 - 등록자금: 60억7900만 위안 - 연간 매출액: 606억900만 위안(2016년) - '2016년 중국 500대 기업'중 96위에 선정. 2017년 상반기 매출액은 334억9400만 위안, 순이익은 33억6800만 위안 | ||
제품 |
|
분유 |
|
ㅇ Mengniu
| China Mengniu Dairy Co Ltd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 ||
회사소개 | - 홈페이지: www.mengniu.com.cn - 법인대표: 卢敏放(Mr. Lu Minfang) - 설립연도: 1999년 8월 18일 - 등록자금: 15억400만 위안 - 연간 매출액: 490억2700만 위안(2015년) - 2017년 '글로벌 20대 유업회사' 중 10위에 선정. 중국 전역에 33개 생산기지 및 58개 공장을 설립했으며 2015년 생산능력은 868만 톤에 달함 | ||
제품 |
|
|
|
ㅇ Bright
| Bright Food(Group) Co Ltd. [光明食品(集团)有限公司] | ||
회사소개 | - 홈페이지: www.brightdairy.com - 법인대표: 是明芳(Ms. Shi Mingfang) - 설립연도: 1995년 5월 26일 - 등록자금: 44억9100만 위안 - 연간 매출액: N/A - '2016년 중국 500대 기업'중 105위에 선정. 유제품, 주류 및 기타 식품을 취급. 총 4000여 개의 체인점을 설립해 운영 중 | ||
제품 |
|
|
|
ㅇ Yangyuan Zhihui
| Hebei Yangyuan Zhihui Beverage Co Ltd (河北养元智汇饮品股份有限公司) | ||
회사소개 | - 홈페이지: www.hbyangyuan.com - 법인대표: 姚奎章(Mr. Yao Kuizhang) - 설립연도: 1997년 9월 24일 - 등록자금: 4억9500만 위안 - 연간 매출액: N/A - 중국 최대 규모의 식물단백질 유제품 회사이며 대표적인 제품은 호두음료임. 허베이성, 허난성, 안후이성, 장시성, 쓰촨성에 생산기지를 설립해 운영 중 | ||
제품 |
호두음료 | 호두음료 | 호두음료 |
ㅇ Wahaha
| Hangzhou Wahaha Group Co Ltd (杭州娃哈哈集团有限公司) | ||
회사소개 | - 홈페이지: www.wahaha.com.cn - 법인대표: 宗庆后(Mr. Zong Qinghou) - 설립연도: 1993년 2월 3일 - 등록자금: 5억2600만 위안 - 연간 매출액: 550억 위안(2010년) - '2016년 중국 500대 기업' 중 271위에 선정. 총 58개 생산기지 및 150여 개 분공사를 보유했으며, 총 자산액은 300억 위안이며, 종업원 수는 3만 명을 상회함 | ||
제품 | 유산균 음료 | 유산균 음료 | 유산균 음료 |
ㅇ Want Want
| Want Want Holdings Ltd (旺旺控股有限公司) |
회사소개 | - 홈페이지: www.wantwant.com.cn - 법인대표: 蔡衍明 (Mr. Cai Yanming) - 설립연도: 1992년 - 등록자금: N/A - 연간 매출액: N/A - 대만 기업으로 1992년에 정식으로 중국시장에 진출. 저장성, 광둥성, 산둥성, 후난성, 베이징 등 9개 지역에 생산기지를 설립해 운영 중 - 중국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브랜드 중의 하나임 |
제품 |
|
| Nestlé SA (雀巢公司) | ||
회사소개 | - 홈페이지: www.nestle.com - 법인대표: N/A - 설립연도: 1867년 - 등록자금: N/A - 연간 매출액: 922억8500만 달러(2015년) - 2015년까지 중국에 총 34개 공장, 4개 R&D 센터 및 식품안전연구원을 설립해 운영 중이며, 중국 내 종업원 수는 5만여 명에 달함 | ||
제품 |
|
|
|
□ 인증제도 및 제출서류
ㅇ 인증제도 제정 시행
- 중국 국가질량감독검사검역총국(AQSIQ) 국무회심의를 통과해 2013년 5월 1일부터 '수출입유제품검험검역감독관리방법' 시행
- 국가질검총국은 수출입 유제품의 검험검역 감독관리를 실시하며, 각 지역의 출입국검사검역기구에서 관할지역 내 수출입 유제품의 검험검역 감독관리 업무를 담당
ㅇ 주요 내용
- 국외 생산기업은 반드시 수출국 및 지역정부 주관부문의 허가에 부합되는 기업이어야 하며, 관련 법률 규정에 부합돼야 함.
- 중국의 식품안전국가표준 및 관련 규정을 인지해야 하며, 중국 식품안전국가표준 사항에 부합하는 검사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함.
- 신청등록 시 중국으로 수출하려는 유제품의 종류 및 브랜드를 명확히 해야 함.
- 수출 시 중국 정부에서 발행한 위생증명서를 제공해야 하며 아래 요구에 부합돼야 함.
① 건강한 동물에서 유래
② 가공처리를 거쳐 동물질병을 가지고 있지 않음
③ 생산기업은 정부주관부문의 감독 하에 관리
④ 안전하며 식용가능
- 검역신고를 마친 유제품은 '중화인민공화국동식물검역허가증'을 발급받아야 함.
- 수출상 혹은 대리인은 반드시 국가질검총국에 등록해야 함.
- 수입상에 대해 등록관리를 실시
① 식품안전전문기술인 혹은 관리인이 있어야 하고, 공상등록지역 검험검역기구에 등록
② 수입제품이 중국식품안전국가표준에 부합함을 확인해야 하며, 종류, 원산지, 브랜드를 보고
③ 포장과 운송공구는 안전위생요건에 부합
④ 수입한 포장제품은 중문라벨(국가관련 기준에 부합)로 표기
⑤ 수입화물검험검역증명을 받기 전 반드시 해당 기관에서 지정 혹은 인가한 감독장소에서 보관해야 하며 검역기관의 허가 없이 이용 불가
⑥ 검역 통과 후 해당 기관에서 발급한 수입화물검역증명서를 받은 후 판매 가능
⑦ 검역 불합격 시 불합격 증명서를 발급받음. 폐기, 반송 전 유제품을 봉쇄해 기관에서 지정 또는 인가한 장소에서 보관해야 하며 검역기관의 허가 없이 이용 불가. 수입상은 3개월 내에 폐기하고 결과를 보고해야 함.
⑧ 유제품 수입 및 판매실정을 기록. 보관기간은 2년
- 수입상의 신용기록을 작성하고, 불량기록이 있는 경우 위법기업 명단을 대외 공포
ㅇ 제출 서류
- 계약서, 영수증, 포장명세서, 출고증 등 증빙자료
- 위생증명서
- 최초 수입제품은 식품안전국가표준에서 지정한 검사보고자료 제출. 최초 수입은 국외 생산업체, 제품명, 원료, 경외 수출상, 중국 수입상 등 정보가 모두 일치한 유제품이 동일한 항구를 통해 처음 수입됨을 의미
- 첫 수입이 아닌 제품은 첫 수입 시에 사용한 검사 보고서 복사본 및 국가질검총국에서 요구한 검사보고 자료 제출. 관련 기업목록은 국가질검총국 사이트에 공포
- 안전위생항목 불합격 및 재차 수입할 경우 상응하는 식품안전국가표준에 열거한 검사보고자료 제출. 5차례 연속 불합격 및 재차 수입할 경우, 해당 검사보고 자료의 복사본 및 국가질검총국에서 요구하는 검사보고서 제출
- 예정포장 유제품일 경우 원문라벨 샘플, 원문라벨 중문 번역본, 중문라벨 샘플 등 자료 제출
- 검역 및 심사허가가 필요한 제품은 수입동식물검역 허가증 제공
- 식품안전국가표준이 표기되지 않은 제품은 국무원 위생행정부문에서 발행한 허가증명서 제출
- 보건효능이 포함한 제품은 관련 부문에서 발행한 허가증명서 제출
- 상장수여 및 인증마크가 표기된 제품은 외교부에서 인증한 관련 증명자료 제출
ㅇ 통관조건
- 자동수입허가증(自动进口许可证)
- 수입화물통관증(入境货物通关单)
- 수출화물통관증(出境货物通关单)
ㅇ 검험검역 유형
- 수입식품 위생감독검험(进口食品卫生监督检验)
- 수출식품 위생감독검험(出口食品卫生监督检验)
- 수입 동식물 및 동식물제품 검역(进境动植物, 动植物产品检疫)
- 수출 동식물 및 동식물제품 검역(出境动植物, 动植物产品检疫)
□ 시사점
ㅇ 유제품시장은 향후에도 빠른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기대
- 2자녀 정책의 도입으로 인한 수요 증가, 과거 멜라민 파동으로 인한 중국산 유제품에 대한 낮은 신뢰도로 수입제품에 대한 선호는 여전함.
- 중국은 해외 유업기업들도 반드시 진출해야 하는 시장으로 여기고, 중국진출을 위해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음.
ㅇ 그러나 분유의 경우 정부 정책으로 인해 제한이 있는 만큼, 정책 내용을 잘 살펴보고 대비할 필요가 있음.
- 중국에서 판매되는 영유아 조제분유는 반드시 제품배합 등록증서를 취득해야 하고 기업별 브랜드 및 제품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등 2018년부터 요건이 매우 강화될 예정임.
· 관련 내용은 '중국 유업기업, 세계시장 진출을 도모하다(클릭 시 이동)' 참조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즉석식품의 신흥강자, 간편훠궈(方便火锅)를 주목하라 (0) | 2017.12.05 |
---|---|
中 음료시장의 핫 트렌드, 식물성단백질 음료 (0) | 2017.12.05 |
[유망] 대만 건강기능식품 시장동향 (0) | 2017.11.23 |
[유망] 홍콩 음료 시장동향 (0) | 2017.11.16 |
홍콩 유기농 전문매장 인터뷰로 알아보는 2017년 트렌드 (0) | 2017.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