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중국 新식품 소비 트렌드에 울고 웃는 기업들 | ||||||||||||||||||||||||||||||||||||||||||||||||||||||||||||||||||||||||||||||
---|---|---|---|---|---|---|---|---|---|---|---|---|---|---|---|---|---|---|---|---|---|---|---|---|---|---|---|---|---|---|---|---|---|---|---|---|---|---|---|---|---|---|---|---|---|---|---|---|---|---|---|---|---|---|---|---|---|---|---|---|---|---|---|---|---|---|---|---|---|---|---|---|---|---|---|---|---|---|---|
게시일 | 2015-10-16 | 국가 | 중국 | 작성자 | 강민주(상하이무역관) | ||||||||||||||||||||||||||||||||||||||||||||||||||||||||||||||||||||||||||
품목 | 품목코드 | ||||||||||||||||||||||||||||||||||||||||||||||||||||||||||||||||||||||||||||||
중국 新식품 소비 트렌드에 울고 웃는 기업들 - 기업들 성패 사례로 보는 중국인의 식품 소비 트렌드 - - 성장한 소비 수준만큼 더 까다로워진 중국인의 입맛 - - 정크푸드·스낵류 멀리하고 건강·신선 메뉴 선호도 증가 -
□ 변화하고 있는 중국인의 식품 소비 트렌드
○ 성장한 경제만큼 더 까다로워진 중국인의 입맛 - 중국 경제의 발전으로 소득과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의 소비 습관과 방식도 고급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식품의 종류와 품질에 대한 요구도 점점 높아져 가고 있음. - 현재 중국 식품시장의 트렌드는 저칼로리, 저지방, 저당분으로 점점 건강한 방향으로 발전해가고 있음. -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58.4%가 간식 등을 선택할 때 영양과 건강을 고려한다고 했으며, 녹색, 유기농, 천연 식품인지를 확인한다고 대답함.
○ 식품 소비 트렌드의 변화로 패스트푸드 등 성장세 하락 - 중국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식품 관련 사건사고로 소비자들은 식품 구입 시에 식품 첨가제 사용 여부 등 식품의 성분들에 크게 신경쓴다고 밝힘. - 2014년 발생한 상하이 푸시(福喜)식품에서 공급받은 유통기한 지난 닭고기를 사용한 사건으로 인해 맥도날드와 KFC의 성장세가 크게 하락함. 이에 반해 디코스(dicos), 스타벅스, 피자헛은 현지화 전략, 저칼로리 메뉴 개발 등을 통해 나은 실적을 보였으나 중국인의 ‘건강한’ 식품 선호현상으로 성장 둔화를 피해갈 수 없었음. - 패스트푸드뿐만 아니라 인스턴트식품, 포장식품 등에서도 판매율 하락 현상이 나타남.
○ 중국인의 식품에 대한 생각들 - 영국의 리서치 전문회사 민텔(Mintel)에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과반 수 이상이 '불량 식품을 완전히 섭취하지 않는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 57%의 응답자가 '건강을 위해서라면 맛을 포기할 수 있다'고 대답함.
자료원: 민텔(Mintel)
- 또한 건강식품을 선택하는 기준(복수 응답 가능)으로는 '천연 성분 포함 및 식품 첨가제 사용 여부'가 57%로 1위를 차지했고, '더 안전한 생산방식', '쌀, 밀가루 등 백색식품이 아닌 곡물 사용'이 각각 51%, 38%로 2위와 3위를 차지함.
자료원: 민텔(Mintel)
□ 기업 사례로 살펴보는 식품 소비 트렌드
○ 음료시장 - 최근 탄산음료 시장의 소비 증가량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소비자의 건강 음료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 - 이에 따라 기업들도 '건강'을 강조한 음료들을 많이 출시하고 있으며, 기존의 음료에서 당류, 탄산, 합성첨가제 등 안 좋은 성분을 빼거나 대체하는 등 많은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음. - 최근 중국 음료시장에서 기능성 음료(24.9%), 식물성 단백질 음료(28%)의 급성장이 눈에 띔.
○ 패스트푸드 시장 - 서양식 프랜차이즈가 업계를 주도하나 최근 발생한 여러 가지 식품 안전 사건들로 인해 많은 타격을 입었으며, 이를 만회하기 위한 건강을 강조한 메뉴들이 새롭게 출시되고 있음. - '건강식'이라는 이미지를 부각시킨 중식 프랜차이즈의 성장이 두드러짐.
○ 레저식품(休閑食品) - 웰빙 열풍으로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견과류, 곡물 원료의 스낵, 말린 과일 및 채소 등 건강에 이로운 원료로 만든 식품들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최근 '친환경, 건강, 영양'에 집중한 제품들이 큰 주목을 받고 있음. - 친환경 레저식품 시장규모는 2013년 279억8000만 위안으로 4년 만에 3배 성장을 기록함.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기업들
자료원: 第一財經周刊, 각 기업 사이트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기업들
자료원: 第一財經周刊, 각 기업 사이트, 바이두
□ 소비자를 따라서: 기업에 부는 변화의 열풍
○ 제품 관련 변화 내용
자료원: 第一財經周刊, 각 기업 사이트
○ 건강한 식품을 테마로 하는 회사들
자료원: 第一財經周刊, 각 기업 사이트
□ 시사점 및 전망: 건강과 안전을 중시하는 식품 소비, 기업의 윤리의식과 진정성까지 판단
○ 새로운 식품안전법 실시로 더 건강해질 중국인의 밥상 - 이번 10월 1일부터 시행될 新식품안전법은 중국인들의 먹거리 안전에 대한 걱정을 적극 반영한 결과로 보이며, 중국 역사상 가장 엄격한 법이라고 평가받고 있음. - 이번 법을 통해 중국인들은 더 안전한 먹거리들을 기대해볼 수 있음.
○ 유기농 등 친환경 먹거리 계속해서 인기 끌 것 - 영양성분 및 방부제 등 식품에 들어간 성분, 유해물질 및 인공물질 함유 여부, 식품 신선도, 생산공정 등 중국인들이 식품 선택 시 고려하는 요소가 과거에 비해 다양해지고 까다로워지면서 유기농 식품 등 친환경 먹거리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임. - 이와 반대로 유전자 조작식품에 대한 중국인의 부정적인 인식이 예전에 비해 한층 강화되면서 관련 식품 판매율에도 영향을 끼칠 것임.
○ 친환경 포장에 대한 관심과 요구 수준도 한층 높아질 전망 - 이제는 중국도 식품 포장이 얼마나 환경과 건강을 고려한 재질로 이루어졌냐에 따라 소비자의 식품 구매 의사를 결정하는 시대로 들어섬. - 유해물질이 함유된 포장에 대한 중국소비자협회의 고발 사례도 발생하고 있으며, 2014년 말 식품 포장에 들어가는 과염소산과 PFC(Poly Fluorine Chemical) 사용 금지를 요청하기도 함. - 겉포장에 쓰이는 성분뿐만 아니라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내지(內紙) 성분이 무엇인지, 무취·무미에 반하지 않는지를 꼼꼼히 따지는 소비자들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음.
○ 생활방식의 변화가 외식문화에도 영향을 가져오고 있음. - 도시화가 가속화되고 도시인구 비중이 늘어나면서 빠르게 돌아가는 생활패턴이 일반화되고, 그 속에서 중국 소비자들은 더 신속하고, 편리하고 안전한 식품을 찾고 있음. - 중국 소비자들은 포장된 인스턴트 식품보다 더 간편하고 안전하게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외식 메뉴를 선호
○ 건강한 이미지를 가진 한국 음식, 충분한 가능성 있어 - 현재 한국 식품은 영유아 간식과 레저식품을 포함한 가공식품, 건강보조식품 및 외식메뉴를 중심으로 건강한 조리방식 및 재료, 깨끗한 위생, 높은 영양성분 등을 내세우며 중국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우리 기업들은 중국인들의 식품 소비 수준의 변화를 철저히 인식하고 맞추어가야 하는 것은 물론이며, 건강한 맛·영양·위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뒷받침돼야 중국 시장에서의 ‘진정한 장수’를 보장받을 수 있음.
자료원: 第一財經周刊, Mintel,《2015中國消費者消費習慣》,《2015年中國購物者報告》및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만 식품관리 규정 강화 (0) | 2015.11.17 |
---|---|
중국 분유 시장, 아직도 장밋빛? (0) | 2015.11.17 |
2억 명 중국 실버세대를 공략하라, 중국 스마트 실버산업 (0) | 2015.11.17 |
와인 제조업체 Grace Vineyard의 중국시장 성공 스토리 (0) | 2015.11.17 |
[무역관 르포] 급속히 정상화되고 있는 중국 시장 (0) | 201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