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전반

LGG 유산균, 피부 건강· 항 비만 효과홀자펠

곡산 2012. 5. 15. 10:12

학술정보연구개발
LGG 유산균, 피부 건강· 항 비만 효과홀자펠·사이토 교수 등 세계적 전문가 발표

유산균학회 학술 심포지엄
김현옥 기자  |  hykim996@thinfood.co.kr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2.05.09  13:13:53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LGG 유산균이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 한편 항 비만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유산균학회(회장 윤성식)가 9일 서울 프라자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주최한 ‘제3회 LGG 유산균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 일본 유산균 연구의 최고 권위자로 손꼽히는 도호쿠대학교 사이토 교수,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홀자펠 교수, 서울의료원 아토피천식센터 김현정 박사,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정세영 교수 등은 LGG 유산균이 인간의 장내 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면역 증진, 아토피증 완화에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했다고 보고했다.

   
 
LGG 유산균은 1983년 미국 터프츠 의과대학의 고르바 박사와 골딘 박사가 건강한 사람의 장에서 발견한 이래 현재까지 무려 700여 편의 논문이 발표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으로 그 동안 장내 환경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 이상의 기능과 효능이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발표돼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피부와 장 건강’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심포지엄에서 'LGG 유산균의 장내 정착성과 면역조절작용'에 대해 발표한 일본 도호쿠대학교 농업생명과학부 사이토 교수는 연구 결과 LGG 유산균 DNA 가운데 ID35가 면역반응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규명했으며, 미생물 DNA에서 발견되는 ID35가 면역 증진과 염증 지표인 IgE를 억제하는 현상이 밝혀짐에 따라 이 같은 연결고리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LGG 유산균은 특별한 단백질 선모(pili)가 발달돼 있어 소장 내에서 용이한 부착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장내 정착성이 우수하고, 다른 유산균에 비해서 장 생존율이 높아 뛰어난 장 건강 효과를 나타낸다고 덧붙였다. 또한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장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장내 미생물의 균형이 깨지고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쳐 피부트러블을 야기한다는 뇌-장-피부 상관 이론을 소개하면서 이러한 피부 트러블의 개선책으로 LGG 유산균을 비롯한 프로바이오틱스의 이용을 제안했다.

‘프로바이오틱스와 피부 건강’을 주제로 발표한 서울의료원 아토피천식센터의 김현정 박사도 핀란드 연구진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LGG 섭취군이 비섭취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은 아토피 피부염 발생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핀란드 학자들은 159명의 아토피 이력이 있는 산모를 대상으로 출산 전과 후 유아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 빈도를 측정한 결과 LGG 유산균을 섭취한 실험군이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발생 빈도가 절반으로 감소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결과는 아직 명확하게 단정할 만한 결정적인 근거에는 미흡하므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생존율 높아 장 건강에 면역 증진
피부 트러블에 프로바이오틱스 이용을

LGG 섭취군 아토피 피부염 빈도 낮아
동물 실험서 간 지방 축적 억제 활성화

   
◇홀자펠 교수
대표적인 유산균 학자인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홀자펠 교수는 ‘LGG를 포함한 유산균의 기능성 연구’ 주제 발표에서 LGG 유산균을 쥐에게 투여한 결과 쥐의 간에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보고했다. 즉 LGG 유산균을 꾸준히 섭취하게 되면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은 것이다.

경희대 약대 정세영 교수는 ‘LGG 유산균이 소화기 건강 및 질병 예방에 미치는 효과’ 발표에서 LGG 유산균의 호흡기 감염, 감기 예방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결과를 보고했다. 또한 LGG 유산균이 바이러스성 감염, 항생제 유발 설사, 여행자 설사 등 위장관 감염 질환을 억제해 소화기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홀자펠 교수는 유산균, 기능성식품 분야에서 약 300여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고, 독일 Technical University 산업미생물학 교수로 재직한 바 있는 유산균 전문가이고, 일본 도호쿠대학교 농업생명과학부 사이토 교수는 현재 아시아유산균학회 연합체 부회장과 일본 낙농과학협회 회장으로 활동 중인 낙농미생물학 분야의 권위자이다.

현재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 40여 개국에서 LGG 유산균을 사용한 다양한 유제품이 출시되어 있으며, 국내에는 매일유업이 LGG 복합 유산균이 10억 이상 함유된 기능성 요구르트 ‘퓨어’를 출시해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최근에는 피부 건강을 위해 LGG 유산균 뿐만 아니라 콜라겐 500mg을 첨가한 ‘퓨어 콜라겐 과일 요구르트’도 새롭게 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