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그플레이션 다시 오나 |
밀 이어 옥수수 대두 국제시세 급등 연중 최고치 |
지난 7월부터 급등하기 시작한 밀 국제가격에 이어 이번에는 옥수수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미국의 생산량 감소로 세계 옥수수 생산량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고, 곡물시장으로 투기세력 진입이 확대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수급 상황이 비교적 안정적인 대두 가격도 덩달아 상승하고 있다. 8일 현재 시카고 선물거래소 밀, 옥수수, 대두 선물가격은 각각 톤당 264달러, 208달러, 417달러로 전년대비 35.4%, 41.5%, 10.3% 상승했다. 10월 들어 밀 가격은 상승폭이 둔화됐으나, 옥수수와 대두 가격은 연일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다. 이는 애그플레이션이 있었던 2008년 평균가격과 비슷한 수준이다. 미국농무부(USDA) 10월 보고서에 따르면 2010/11년도 밀 옥수수 대두의 기말재고율은 각각 26.3%, 15.8%, 24.3%로 전년대비 3.9%P, 2.4%P, 1.0%P 하락할 것으로 전망돼 향후 국제곡물가격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옥수수, 대두 가격 상승은 국내 사료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축산농가의 생산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아직까지 수입곡물 관련 상품의 국내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국제 곡물가격이 국내 물가에 3∼6개월 시차를 두고 반영되기 때문에 내년 초 밀 옥수수 대두 수입가격이 급등할 여지가 있어 조기경보시스템 강화와 곡물 수입선 다양화 등 정부 및 관련 업계의 대응방안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 2010년 10월 옥수수, 대두 가격 급등 2008년 국제곡물 선물가격은 호주의 밀 생산 감소, 국제유가상승에 따른 바이오 연료 수요 증가, 주요 곡물 수출국의 수출 금지조치 등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008년 6월 대두와 옥수수 선물가격은 각각 553$/톤, 276$/톤, 2008년 3월 밀 선물가격은 403$/톤이었다. 2009년 들어 국제 곡물가격은 하락해 안정세를 보였으나, 기상악화로 인한 구소련 지역의 밀 생산 감소로 러시아가 수출금지 조치를 취하면서 올 7월부터 밀 가격이 급등하기 시작했다. 이와 더불어 세계 옥수수 생산량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고, 곡물시장으로 투기세력이 진입함에 따라 옥수수 가격이 상승했고, 수급 상황이 안정적인 대두 가격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 세계 밀, 옥수수 기말재고율 전년대비 하락 전망 USDA는 올 6월까지 세계 밀 기말재고량을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구소련 지역의 가뭄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가 반영되면서 7월부터는 전년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하여 발표하고 있다. 옥수수 재고량도 8월까지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으나, 9월 전망부터는 전년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옥수수의 최대 생산국인 미국의 단수 감소로 생산량이 예상보다 적어 세계 옥수수 생산량이 9월 전망치(8억 2,607만 톤)보다 크게 감소한 8억 1,965만 톤으로 전망되었기 때문이다. 9월 미국의 옥수수 생산량 전망치는 전년대비 0.4% 증가한 3억 3,427만 톤이었으나, 10월 전망치는 전년보다 3.4% 감소한 3억 2,168만 톤으로 하향 조정됐다. 2010/11년도 세계 대두 생산량은 전년대비 1.8% 감소한 2억 5,526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소비량(2억 5,242만 톤)을 초과하여, 세계 대두 기말재고량은 전년대비 1.6% 증가한 6,142만 톤으로 전망된다. 내년 초부터 수입가격 상승 관련 업계 생산 비용 증가 ● 10월 밀 투기세력 감소, 옥수수, 대두는 증가세 지속 7월 이후 곡물 선물시장으로 투기세력 진입이 확대되면서 9월까지 크게 증가했다. 10월 들어 밀 투기세력은 감소했으나, 옥수수, 대두의 투기세력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010년 들어 밀 선물 투기 포지션은 순매도세를 유지했으나, 7월 20일 이후 순매수세로 전환돼 8월 24일 밀 선물 투기 순매수포지션은 3만6,743계약을 기록하면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10월 5일 기준 밀 선물 투기 순매수포지션은 4,008계약으로 크게 하락했다. 옥수수 선물 투기 순매수포지션은 1월 12일 27만3,133계약 이후 감소해 10만 계약 수준에서 변동했으나 7월 중순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기 시작해 10월 5일 444,135계약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대두 선물 투기 순매수포지션은 3월 순매도세로 전환되기도 했으나, 7월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기 시작해 9월 30일 18만0,199계약으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10월 5일 대두 선물 투기 순매수포지션은 167,295계약이었다. ● 옥수수, 대두 수입가격 상승 대비한 정부 및 관련업계 대응방안 마련해야 2008년 국제 곡물가격 상승함에 따라 밀, 옥수수, 대두 관련 품목의 국내 물가가 급등, 애그플레이션을 경험했다. 국제 밀 가격은 2008년 3월 가장 높았으나, 국내 밀가루 소비자물가지수(2005=100)는 동년 7월 206.5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편, 옥수수와 대두 가격은 각각 2008년 6월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국내 배합사료 생산자물가지수(2005=100)는 2009년 1월 최고치인 201.3까지 상승하여 국내 축산업에 타격을 주었다. 10월 현재 국제 곡물가격이 2008년 최고 수준보다는 낮지만, 옥수수와 대두의 가격은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옥수수, 대두 가격 상승은 국내 사료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축산농가의 생산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아직까지 수입곡물 관련 상품의 국내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국제 곡물가격이 국내 물가에 시차를 두고 반영되기 때문에 내년 초 밀, 옥수수, 대두 수입가격이 급등할 여지가 있다. 이에 대한 보완대책으로 조기경보시스템 강화와 곡물 수입선 다양화 등 정부 및 관련업계의 대응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
김현옥 기자 : hykim996@thinkfood.co.kr |
'식품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별기획]‘굳지않는 떡’ 개발한 농진청 한귀정 과장 (0) | 2010.12.06 |
---|---|
[기획]‘열린마루’를 통해 본 중소 식품기업 현안들 (0) | 2010.12.06 |
[창간14주년 특집]이제는 맞춤형 시대⑪-맞춤형 유아식 (0) | 2010.10.03 |
[창간14주년 특집]이제는 맞춤형 시대⑩-갱년기 대응 식품 (0) | 2010.10.03 |
[창간14년 특집]이제는 맞춤형 시대⑨-미용식품 시장 현황과 전망 (0) | 2010.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