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 |
트랜스지방의 모니터링결과 및 관리방안 |
담당부서 | 식품안전과 | 담당자 | 이 영 | |||
등록일 | 2005.05.27 | 전화번호 | 380-1742 | |||
○ 일부 가공식품중 트랜스지방(Trans fat)의 잔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마가린 및 쇼트닝 등 가공유지에서 100g당 평균
14.4±10.2g, 비스킷류에서 2.8±2.1g, 초코렛가공품에서 3.2±2.4g, 스낵류에서 1.2±2.2g의 수준으로
검출되었음. - 트랜스지방은 마가린 및 쇼트닝등 가공유지나 이들 성분을 원료로 제조한 식품 및 반추동물(反芻動物)의 지방중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의 하나로서 - 액체상태의 식물성 기름을 고체(固體)화 하기위해 수소첨가(Hydrogenation)하는 과정중 또는 식품을 기름에 튀기거나 고온으로 처리할 때 생성되기도 하고, 소등 반추동물의 고기나 지방중에도 자연발생적으로 소량 생성되어 잔류함 ○ 이들 트랜스지방은 포화지방과 마찬가지로 사람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는 L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사람에 좋은 H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킴으로서 많은 양의 트랜스지방을 섭취할 경우 심장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로 연구·보고되고 있음 ○ 식약청은 이번 트랜스지방의 함량조사결과가 미국등 조사결과와 유사하나, 탄수화물 및 채식을 위주로 하는 우리의 식생활로 인해 지방의 섭취량이 미국, EU등 보다 훨씬 적어 직접적으로 소비자의 건강상 나쁜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라고 밝히면서 소비자의 건강을 위하여는 균형된 식생활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강조 하였다. ○ 그러나 식약청은 포화지방의 과량섭취와 마찬가지로 트랜스지방의 과량 섭취는 심장질환의 발생과 상관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공식품섭취로 인한 위해의 개연성을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과 산업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이를 위해서 식약청은 한국식품공업협회의 주관하에 민·관대책반(T/F)를 구성하여 가공유지의 공정개선과 대체품(replacer)의 개발·활용등 저감화 방안에 대한 상호정보교환과 아울러 자율적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등 자율적저감화방안을 강구토록 유도하고 ※ 시설 및 공정의 개발과 대체품의 개발·적용에는 상당한 자본의 투입과 시간이 요구됨 ○ 우리의 식생활 중 트랜스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예견되는 식품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확대실시함과 아울러 이들 성분을 섭취함에따라 소비자에 미칠 수 있는 건강영향평가를 과학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와 추이를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관련부서 : 영양평가과 박혜경 과장 380-1678) |
'트랜스 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트랜스지방' 세계는 지금 축출 전쟁 (0) | 2006.11.23 |
---|---|
트랜스 지방...생긴 건 몸에 좋은 불포화지방 (0) | 2006.07.12 |
트랜스지방 줄이는게 장수비결 (0) | 2006.04.05 |
[스크랩] <트랜스지방은...얼마나 몸에 해롭나> (0) | 2006.03.25 |
[스크랩] 가공식품 속에 든 트랜스지방이 ... (0) | 2006.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