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中 ‘광군제’ 대박 상품의 인기비결은? | |||||||||||||||||||||||||||||||||||||||||||||||||||||||||||||||||||||||||
---|---|---|---|---|---|---|---|---|---|---|---|---|---|---|---|---|---|---|---|---|---|---|---|---|---|---|---|---|---|---|---|---|---|---|---|---|---|---|---|---|---|---|---|---|---|---|---|---|---|---|---|---|---|---|---|---|---|---|---|---|---|---|---|---|---|---|---|---|---|---|---|---|---|---|
게시일 | 2015-11-30 | 국가 | 중국 | 작성자 | 김성애(베이징무역관) | |||||||||||||||||||||||||||||||||||||||||||||||||||||||||||||||||||||
품목 | 사탕과자류 | 품목코드 | 161 그 외 3건 | |||||||||||||||||||||||||||||||||||||||||||||||||||||||||||||||||||||||
中 ‘광군제’ 대박 상품의 인기비결은? - ‘건강’, ‘브랜드’를 중요시하는 중국 소비 트렌드를 파악 - - 다양화, O2O 전략 적극 실시 - - 할인행사 주요 참가자를 파악, 맞춤형 마케팅 전략 전개 -
□ (식품) 견과류 등 레저식품 대인기
○ 이번 ‘광군제’ 할인행사에서 가장 인기를 끈 식품은 견과류, 육포, 건과일, 스낵 등 레저식품 및 유제품 - 이는 중국 소비자들이 레저식품을 소비하면서 ‘건강’을 중시하기 시작했음을 시사 - 2015년 중국 광군제 쇼핑 페스티벌 당일, 견과류를 주요 상품으로 하는 Three Squirrels는 2억6000만 위안의 매출액으로 식품류 매출 1위를 차지 - Three Squirrels의 뒤를 바짝 추격하며 매출 TOP 10에 이름을 올린 브랜드는 견과류, 육포, 건과일을 주요 품목으로 하는 라이이펀(來一份), 량핀푸즈(良品補子)와 바이차오웨이(百草味) 등 · 라이이펀 매출액은 2억 위안 수준, 량핀푸즈는 1억2300만 위안, 바이차오웨이는 1억2000만 위안
○ 인기식품의 가격은 상품 특성상 과자보다 비싼 편이지만 동종류 상품 시중가격보다 낮은 편 - 주로 온라인을 공략해 왔으므로 오프라인에 의존하는 전통 레저식품 업체들보다 비용 절약 · Three Squirrels는 설립 초기부터 오프라인 매장보다 온라인 매장, 특히 티몰 등 B2C 매장을 주로 공략. 이를 통해 매장 설립으로 인한 비용을 대폭 줄였음. - 이 외 연예인을 활용해 광고홍보를 대대적으로 진행한 것도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는 데 한 몫 했다고 평가됨. · 위의 식품업체들은 광군제 행사 1개월 전부터 SNS, 동영상 사이트에서 홍보를 대대적으로 진행
2015년 광군제 쇼핑 페스티벌 식품류 매출 TOP 10 (단위: 위안)
자료원: KOTRA 베이징 무역관
□ (패션섬유) ‘중산층 이미지’ 강조한·O2O 전략 실시
○ 광군제 할인행사에서 매출 앞자리를 차지한 패션섬유 업체들은 오랫동안 O2O 전략을 시행해왔음. - 침구류 상품에서 2억 위안에 육박하는 매출액으로 1위를 차지한 LOVE 홈패션(1억9000만 위안)은 2009년부터 티몰, 징둥 등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매장을 설립하고 2015년부터는 웨이상(微商)을 개설 · 웨이상은 웨이신(微信) 등 SNS 플랫폼을 이용해 제품을 전시하고 판매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의미
○ 품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대도시 번화가의 대형 쇼핑몰 안에 입주해 ‘중산층 브랜드’ 이미지를 강조하는 전략으로 중국 소비자의 인정을 받았음. - 유니클로, BALABALA 등 브랜드는 제품의 소재와 실용성을 강조하고 가격 대비 우수한 품질을 자랑함. · 2015년 광군제 쇼핑 페스티벌에서 유아용품 브랜드 중 1위는 중국 대표 캐주얼 기업인 ‘SEIMR’에서 운영 중인 유·아동복 브랜드 ‘BALABALA’(1억5200만 위안)가 차지 - 또 젊은 소비층을 타깃으로 캐주얼 상품을 할인행사에 대거 투입하며 50% 이상의 할인을 실시
2015년 광군제 매출액 TOP5
자료원: 이방동력망(□邦動力網), 광파증권발전연구센터(廣發證券發展硏究中心)
□ (화장품) 중고가 현지 브랜드 급부상
○ 2015년 광군제 쇼핑 페스티벌 화장품류에서 매출 1위는 중국 현지 브랜드 바이췌링(百雀羚, PECHION)이 차지 - 2014년 광군제 당시 바이췌링의 온라인 매출총액은 3854만 위안 수준 - 올해 11월 11일 바이췌링 온라인 매출총액은 2배 이상 증가해 1억800만 위안에 도달 - 광군제 온라인상 화장품 매출총액은 20억 9100만 위안, 바이췌링은 5% 이상의 비중을 차지한 셈
○ 바이췌링은 주로 식물성 원료를 사용한 자극성이 낮은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데, 보습라인 제품은 다양한 소비층이 애용 - 1931년에 창립된 바이췌링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 - 개혁개방과 동시에 해외 화장품이 대거 중국 시장에 진출하며 한동안 침체기를 겪었음.
○ 그러나 최근 바이췌링은 상품 품질 제고, 유통 채널 확대하며 급성장 - 2008년 구조조정과 신상품 출시 등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로 중국 화장품 시장 공략하기 시작 - 2010년 바이췌링은 티몰에 플래그 숍을 설립하고 온라인 매장 특별공급상품(特供: 온라인 매장에서만 구입 가능)을 출시했으며 2014년부터 유통채널을 확대하고 다양한 판매경로를 통해 시장을 확대하기 시작
○ 또 중화민족 고유 화장품임을 강조하는 마케팅 전략으로 대표적인 현지 화장품 브랜드로 자리매김 - 바이췌링은 전통 한의학 서적 ‘본초강목’에 나오는 원료들을 사용했음을 적극적으로 홍보 - 지난해 중국 퍼스트레이디인 펑리위안 여사가 사용하는 브랜드로 알려지면서 제품의 이미지 급상승
자료원: 티몰
□ 전망 및 시사점
○ 할인행사의 주요 참가자를 파악하고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 티몰, 징둥 등 B2C 사이트의 경쟁이 과열되기 시작하면서 중국 전자상거래 할인행사는 급증 추세 · 중국 전통 명절과 외국 명절(크리스마스 등)은 물론, 각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마련한 할인행사(알리바바의 광군제, 징둥의 6월 18일 등) 포함 - 그러나 온라인 할인행사는 주로 스마트기기 사용에 능숙하고 온라인 쇼핑에 익숙한 젊은 세대들이 참여하고 있음. - 중국 온라인 쇼핑의 주력군으로 부상하는 빠링허우(1980년대에 태어난 세대), 지우링허우(1990년대 태어난 세대)들의 쇼핑 트렌드를 파악하고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음.
○ 토종 브랜드들은 다양한 소비층을 타깃팅하고 다양한 유통채널을 장악하고 있으며, 기존 확보한 판매경로를 활용해 상품 구성을 더 확대하는 전략을 적극 시도 · Three Squirrels의 회장은 기존의 온라인 쇼핑몰에 과일 등 상품을 추가할 계획을 밝혔음. - 한국 화장품, 식품 등 상품의 우수성은 중국 업계에서도 인정하는 수준. 그러나 젊은 소비층과 온라인 판매경로에 치중해 있는 현황 - 프리미엄 상품 시장은 글로벌 업체들이 점유하고 있어, 현지 업체들은 대부분 중저가 제품에 주력 - 최근에는 R &D 투자를 확대해 상품 품질 향상에도 힘을 쏟고 있음. - 과거 저소득층이 토종 브랜드를 주로 구입했으나, 최근 중국 시장에서 전통있는 토종 브랜드들이 중고가 제품라인을 선보이면서 중산층 고객을 폭넓게 흡수하고 있음. - 우리 기업들은 중국 시장에 진출함에 있어서 중국 소비시장의 변화와 자사의 장단점을 면밀히 분석하고 토종 브랜드의 역습에 대비해야 함.
자료원: 중국식품보(中國食品報), 남방일보(南方日報), 잉상망(嬴商網) 및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2자녀 정책에 ‘유기농 분유’ 시장 ‘들썩’매년 200~300만 명 새로 출생…시장 점유율 적어 성장가능성 커 (0) | 2015.12.17 |
---|---|
2015년 중국 11.11 광군제, 최고 인기 상품은? (0) | 2015.12.10 |
2015년 베이징 국제 영양건강산업 엑스포 참관기 (0) | 2015.11.18 |
대만 왕왕(旺旺)그룹의 중국 진출-판매 전략에 적합한 지역 선정 (0) | 2015.11.18 |
중국 분유 시장에 부는 ‘유기농’ 열풍 (0) | 201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