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조 2025 계획’으로 본 중국 식품산업 미래상식품 설비·생산과정 스마트화로 안전·이윤 극대화

곡산 2015. 9. 22. 11:22

‘제조 2025 계획’으로 본 중국 식품산업 미래상식품 설비·생산과정 스마트화로 안전·이윤 극대화

식품음료신문  |  fnbnews@thinkfood.co.kr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5.07.21  01:45:44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중국 국무원은 지난 5월18일 ‘중국제조 2025’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앞으로의 중국 식품산업 예측을 위해 눈여겨 봐야할 부분으로 ‘스마트제조장비와 제품을 발전시키는 것’ ‘제조과정의 스마트화 추진’ ‘품질 좋은 브랜드 건설’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같은 조항들은 식품산업 생산설비의 스마트화, 식품산업 등 중국의 중점산업의 스마트관리감독 체계 구축, 식품·약품·아동용품 등의 품질관리, 식품을 포함한 중점 소비재의 품질안전 보장 등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따라서 향후 식품산업의 스마트화와 품질보장제도의 귀추를 주목해볼 만한데, 코트라 칭다오 무역관은 이러한 배경하에서 최근 중국 식품산업을 읽어내기 위한 세가지 키워드로 ‘식품안전’ ‘유기농식품’ ‘전자상거래’을 꼽아 소개했다.

   
 
■ 중국 식품산업 발전현황

     
작년 중국 식품기업 3만7607곳의 총 생산액은 10조8900억 위안에 달했다. 이는 1998년 5780억 위안보다 18.84배 증가한 수치로, 생산액 증가 속도는 8%를 기록했다. 또 2014년 중국 식품공업이 달성한 이윤 총액은 7581억4000만 위안으로, 이는 동기 대비 1.2% 증가한 수치다. 이처럼 식품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면서 식품산업은 이전에 없던 치열한 경쟁을 시작했다. 

 

[업종별 1위 브랜드]

업종명

업계 1위 브랜드

(연속년수

업계 2

업계 3

2013

업계 1위 브랜드

라면

캉스푸(4)

통일100

라이이통(통일)

캉스푸

햄소시지

솽후이(3)

진뤄

위룬

솽후이

냉동식품

스녠(2)

완자이마터우

삼진

스녠

아이스크림

멍니우(3)

이리

허루쉐

멍니우

식용유

진롱위(4)

푸린먼

루화

진롱위

영유아용 분유

둬메이즈(2)

베이인메이

메이짠천

둬메이스

닭고기 다시다

타이타이러(4)

자러

메이지

타이타이러

간장

하이톈(4)

리진지

자자

하이톈

식초

하이톈(3)

전장

헝슌

하이톈

자료원: 배행방123망

성장산업…10월부터 새 식품안전법 시행 사각지대 해소
중 ·상류충 ‘유기농’ 선호…10~20억 불 규모 선진국 수출도

 

■ 키워드1 : 식품안전
 
중국에서 발생한 일련의 식품안전사고로 인해 식품산업이 대중들로부터 신임을 잃었다. 따라서 많은 식품기업들이 식품안전을 강조하며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고, 식품 안전성과 이윤을 동시에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중이다.

또 올해는 중국 식품안전의 해로, 전국 각지의 현지 정부들이 이를 매우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전국 식품안전의 달’을 맞이해 각 지역에서 관련 활동들이 개시됐다.

또한 올해 10월 1일부터는 식품안전에 대한 새로운 법이 시행될 예정으로, 이는 2009년 이후 처음 있는 대대적인 수정이다. 이 법에서는 50개의 조항을 신설했고, 실질적으로 70% 정도의 내용을 수정했는데 ‘법률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존 항목들을 좀 더 세분화했으며, 관리감독의 범위를 확장시켰다.

[중국에서 발생한 주요 식품안전 사고] 

날짜

사건명

사건 개요

2009

싼루 멜라민 분유사건

2008년 당시 중국 1위 분유업체였던 싼루그룹이 제조한 유아 분유에 독성물질 멜라민이 들어있어 이를 먹은 유아 6명이 사망하고 수천 명의 유아들이 신장결석에 걸림.

2011

건강원 쓰레기기름 사건

건강원의 자회사가 14500만 위안의 쓰레기기름을 구매해 세팔로스포린의 주요 중간체인 7-ACA를 생산하는 데 이용함.

2012

젤라틴 요거트 사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요거트와 젤리에 젤라틴이 함유돼 있는 것으로 밝혀져 사회적인 파장을 일으킴.

2014

푸시 썩은고기 사건

20141118일 한 매체는 상해푸시식품유한공사가 유통기한이 지난 육류를 대량 구매해 맥도날드, KFC, 피자헛 등에 유통하는 사건이 발생함.

2015

강시육 유통사건

유통기한이 40년씩 지난 육류 10만 톤을 밀수한 후 중국 14개 성에 유통


■ 키워드 2: 유기농식품
 
최근 중국인들의 식품안전 의식과 가계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중산층과 고속득 계층이 주목하는 식품산업군으로 자리잡았다. 따라서 중국의 각급 농업부문들이 중국 농식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움직임을 시작하고 있다.

 

◇유기농식품산업 발전현황
작년 중국의 유기농 식품 생산량은 920톤에 달했고, 앞으로도 유기농 식품의 생산량과 생산품목 또한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며, 유기농 제품의 가공방식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농제품의 시장구조는 80%의 가공품, 20%의 초급유기농품의 구성비를 이상적으로 보고 있으며, 많은 외국의 유기농 시장도 이런 구조를 갖추고 있다. 중국도 이러한 구조를 갖고 있으나 상품목록 자체가 비교적 간단해, 중국 유기농 산업은 아직 초급단계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그렇치만 향후 유기농식품의 심층 가공방식이 발전할 것을 감안한다면 중국 유기농식품 산업의 전망은 밝다.

한편, 현재 전 세계 유기농식품 시장은 500억 달러의 규모를 갖고 있다. 이 수치는 10년 후 2000억 달러로 늘어날 예정이다. 또 10년 후 중국 유기농식품 시장 규모도 10억~20억 달러로 늘어날 예정으로, 식품 소비액의 3~5%를 차지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선진국들의 유기농식품 소비에 대한 수요 또한 중국산 수입품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 

식품 전자상거래 고성장…320억 위안에 시장 0.3% 차지
온라인에 각국 국가관 개설…한국산 차별화해야 경쟁 우위 

 

   
 자료원: 전첨산업연구원
■키워드 3: 전자상거래
 
중국식품산업발전연구보고의 통계에 따르면, 2013년 식품전자상거래의 교역총액은 2012년 동기 대비 47.9% 증가한 324억 위안에 달했다. 또 온라인쇼핑 시장에서 식품 구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2.5%까지 상승했으며, 성장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 아울러 2013년 중국 식품 온라인 쇼핑고객의 규모는 4495만 명으로, 동기 대비 약 60.14% 증가했으며, 온라인 식품 거래성사액은 전자상거래 시장규모의 0.32%를 차지했다.

 

한편 중국 식품전자상거래 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징동은 각국의 국가관을 개설하고 있다. 최근엔 호주관을 열어 우유, 육류, 과일, 와인 등 호주 식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한국관, 프랑스관, 일본관이 이미 개설되어 있다. 징동의 이런 국가관 개설은 한국 내 식품기업에 중국 식품시장 침투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나, 개설되는 국가가 점점 다양해짐에 따라 세계 각국의 식품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는 차별점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자료원: 전첨산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