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수입 놓고 협.단체간 '갈등' | |
콩가공협회도 수입 가세 기존 4개 단체와 알력 용도별 공급체계 무너져 유통질서 혼란 가능성 | |
이상택 기자, 2008-04-16 오후 3:57:00 | |
콩수입을 둘러싸고 한국식품공업협회 등 실수요 단체와 한국콩가공식품협회가 미묘한 갈등을 벌이고 있어 주목된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재 콩수입은 국영무역으로 분류돼 식품가공용 콩은 정부의 운용계획에 따르 두부용은 한국연식품공업협동조합, 장류용은 대한장류공업협동조합, 두유용은 한국식품공업협회, 메주 및 공분용은 서울제일메주콩분조합 등 4개단체로 배정 공급되고 있다. 그런데 지난 1993년 발족한 한국콩가공식품협회가 올 정기총회에서 '콩 가공식품원료 공급에 관한 사항'을 사업목적에 신설해 회원사를 대상으로 수입콩을 공급하겠다고 결정, 식공 등 실수요 단체들이 원료공급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다며 반박하고 있다. 실수요 단체들은 콩가공식품협회가 정관대로 사업을 진행할 경우 사업영역이 매우 광범위해 자신들의 사업영역을 침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콩가공식품협회 정관 제4조6항에는 '콩 가공식품이란 두부.장류.두유.메주 등을 포함한 모든 콩을 사용하는 제품'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실수요 단체들은 콩가공협회가 정관상의 사업목적대로 수입콩을 배정하면 목적이 유사한 단체들이 난립해 콩수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콩 필요업체들이 용도에 따라 단체에 가입할 경우 이중으로 수입콩 배정받는 불합리도 생길 수 있다고 반박했다. 이와함께 실수요 단체들은 콩식품협회의 정관개정에 따라 발생하는 각 단체의 사업영역 침해는 공동사업 수수료 수입으로 운영해 중소기업의 권익을 최소한 대변하고 있는 중소기업협동조합의 존립근거를 약화시킴으로서 중소기업 대변 단체의 존립을 위태롭게 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대결구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이에따라 실수요단체들은 "콩식품협회의 정관대로 수입산 콩을 배정하게 되면 기존 공급체계가 무너질 것이 뻔해 식품업계가 큰 혼란을 겪을 것"이라며 "콩가공협회의 정관을 개정하든가 이것이 여의치 않다면 정관 내용을 실수요 4개 단체의 사업영역을 제외한 것으로 제한해야 할 것"이라 강조했다. |
© 식품환경신문 |
'업계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 성장동력 특집]CJ그룹-세계 맛 시장 ‘뚜레쥬르’로 뚫는다 (0) | 2008.04.20 |
---|---|
2008년 4월 16일 수요일 매경 1000대 기업 (0) | 2008.04.18 |
삼양식품 대주주 안정지분 확보 (0) | 2008.04.17 |
맛 ‘네’... 품질 ‘네네’... 서비스 ‘네네네’ (0) | 2008.04.14 |
풀무원, 투자-사업회사 분할 (0) | 2008.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