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에 학자들에 따라 삼국시대를 황건적의 난이 일어나는 184년, 또는 헌제 초평 원년(190년)부터 진 무제 태강 원년(280년)로 간주하기도 한다. 184년도 많이 인정되는데 이때는 조조의 나이 30세, 손견(孫堅, 155∼192) 27세, 유비 24세로 이들이 황건적을 토벌하면서 중국사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는 이때를 출발로 삼았으므로 총 97년간의 일이다. 『삼국지』의 주제가 되는 삼국시대는 『삼국지』의 일부분에 불과하지만, 삼국시대의 중심인물들의 발흥과 쇠망까지를 담고 있어 그 제목이 어울리는 것이다. 『삼국지』의 주인공은 조조, 유비, 손권이다. 조조가 위나라를 세우고 황제가 되지는 않았지만 그의 아들 조비가 위나라의 황제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조조가 권력을 장악했기 때문이므로 조비가 아닌 조조를 주인공의 한 사람으로 다루는 데 이견이 없다. 촉나라는 234년 제갈공명(諸葛孔明, 181∼234)이 오장원에서 사망한 뒤 국운이 쇠퇴해 기원후 263년 위나라에게 멸망당하면서 제일 먼저 사라진다. 위나라 역시 265년 조조의 참모였던 사마의(司馬懿, 179∼251)의 손자 사마염(司馬炎, 236∼290)이 위의 원제 조환(曹奐, 246∼302)을 협박하여 선위를 받아 진나라를 세우면서 46년간의 짧은 국운을 마감하였다. 마지막으로 280년 진(晉)나라가 오나라의 손호(孫皓, 242∼283)로부터 항복을 받으면서 위, 촉, 오의 세 나라는 역사에서 사라진다. 삼국통일은 『삼국지』의 주인공이 아니라 엉뚱하게도 위나라의 제후 사마염에 의해 이루어졌던 것이다. 정사와 소설과의 혼합 일반적으로 『삼국지』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는 중국의 정사로 진나라의 진수(陳壽, 233∼297)가 찬(撰)하고 송나라의 배송지(裵松之, 372∼451)가 주석을 단 것으로 위지(魏志) 30권, 촉지(蜀志) 15권, 오지(吳志) 20권 도합 65권을 말한다. 진수는 촉의 이름난 학자 초주로부터 학문을 배웠고 장군주부, 황문시랑 등의 낮은 벼슬을 했다. 인사권을 쥐고 있는 환관에게 아첨하지 않아 승진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촉이 망하고 진나라가 서자 장화(張華, 232∼300)가 그의 재주를 아껴 역사를 쓰는 좌저작랑으로 추천했고 저작랑으로 승진했다가 평양후(平陽候)의 재상이 되었다. 진수는 삼국시대의 역사를 기록하면서 위나라만 정통으로 인정하여 위지에만 본기(本紀)가 있고 촉과 오는 열전(列傳)에서 다루었다. 이는 진수가 위나라로부터 선위를 받아 건립된 진나라의 관리로서 위나라를 법통으로 인식하여 역사를 기록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진수의 『삼국지』는 한국사의 중요한 사료이기도 하다. 『위지』 <동이전>에서 부여전, 고구려전, 옥저, 읍루, 예(濊), 삼한전(三韓傳) 등을 기록하여 우리나라 상고사와 국문학 연구에 없어서는 안 될 좋은 자료이기 때문이다.
진수의 『삼국지』에 주해를 한 배송지는 남송의 역사학자로 동진 시대에 전중장군, 사주주부 등을 맡았고 송나라 때 황제를 모시는 중서시랑이 되었으며 사주와 기주의 대중정, 태중대부 벼슬도 했다. 423∼453년 송(宋, 東晋을 멸망시킨 유유가 세운 나라로 조광윤이 세운 송나라가 아니다)의 문제(文帝)가 진수의 『삼국지』가 너무 간단한 것을 아쉽게 여겨 내용을 보충하라고 명했는데, 배송지는 원문을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역사 사실을 보충하고 잘못된 부분을 바로 잡아 역사책에 주해를 붙이는 새로운 형식의 역사책을 만들었다. 문제(文帝)는 그의 주해를 읽고 불후의 저작이라고 칭찬했는데 그가 인용한 100종이 훨씬 넘는 책들은 후세에 거의 다 사라졌지만 그의 주해로 인해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실제로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는 배송지의 주해를 진수의 설명보다 더 많이 활용했다. 둘째는 나관중의 『삼국지』가 나오기 전에 많이 읽힌 『삼국지평화(三國志平話)』이다. 『삼국지평화』는 원나라 영종(英宗, 재위 1320~1323) 때에 전래되던 화본(話本)들을 바탕으로 복건성(福建省) 건양(建陽)의 출판업자 우(虞)씨가 간행한 책으로 원래 이름은 『전상삼국지평화』이다. 모두 3권으로 되어 있으며 그림과 글로 위아래를 나누어 구성하고 있는데 『삼국지』의 10분의 1 정도의 분량으로 된 짧은 책인데다 문장이 세련되지 못하며 허황된 내용이 많지만 그동안 설화(說話)로서 전승되던 이야기들을 독서물로 정착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세 번째가 원(元) · 명(明)시대의 나관중이 『삼국지평화』의 줄거리를 참조하고 진수의 『삼국지』, 배송지의 각주, 사마광의 『자치통감』을 토대로 소설화한 『삼국지연의』로 등장인물이 무려 1191명이나 달할 정도의 대서사시이다. 『삼국지연의』의 현존본으로는 명나라 홍치 갑인(弘治甲寅, 1494)에 간행된 24권 240회로 된 것이 가장 오래되었다. 이후 『삼국지연의』가 큰 인기를 끌면서 여러 문인들에 의해 계속 속본(俗本)으로 출간되었으나, 청나라 순치 갑신(順治甲申, 1644) 때 모종강(毛宗崗)이 김인서 성탄(金人瑞 聖歎)의 비평과 서문을 쓴 원본 성탄외서(元本 聖歎外書) 120회, 『삼국지연의』 제일재자본(第一才子本)이 간행되자 이것이 『삼국지연의』의 정본(定本)이 되었고 모든 속본은 자취를 감춘다. 한국에서도 『삼국지연의』는 수많은 작가(박태원, 정비석, 박종화, 김길형, 이문열, 황석영, 장정일, 리동혁 등 70여 종)에 의해 출간되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삼국지연의』라는 제목보다는 주로 ‘소설 『삼국지』’ 또는 ‘원본 『삼국지』’ 등으로 소개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글에서 사용되는 『삼국지』라는 단어는 기본적으로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를 모본으로 하며 정사인 진수의 『삼국지』를 설명할 때는 진수의 『삼국지』라고 기록하여 혼동되지 않도록 했음을 밝혀둔다. 중국의 삼국시대를 다룰 때 시종 문제가 되는 것은 정사의 기록인 진수의 『삼국지』를 비롯한 중국의 정사와 각색된 나관중의 『삼국지연의』의 내용이 서로 다를 때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이다. 원칙적으로 진수가 적은 『삼국지』등 중국의 정사는 역사적인 사실을 다루고 있으므로 나관중의 그것과 서로 다르게 설명된 내용이 있다면 정사에 적힌 것을 진실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는 나관중의 『삼국지연의』가 소설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관중이 역사적 사실에 충실하여 소설을 전개했다면 불후의 명작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앞으로 나관중의 설명이 진수나 역사적 사실과 명백하게 다른 경우, 즉 인물이 가공인물이거나 변형되었거나 각색되었을 경우, 또는 전개되는 정황이 사실과 다를 경우 정사에 기록된 내용을 부가적으로 설명하여 역사적 사실과 혼동하지 않도록 한다. (계속) |
이종호 과학저술가 | |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생활 고수들의 지혜 총정리 (0) | 2008.10.18 |
---|---|
7 이란 숫자의 불가사의 (0) | 2008.08.24 |
<살며생각하며>한 지붕 밑 초대손님 (0) | 2008.08.04 |
누군가(?)에게 들려주고싶은 좋은글 (0) | 2008.07.28 |
[스크랩] 리더와 관리자의 11가지 차이점 (0) | 2008.07.28 |